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임진왜란 #조선인구 #사회변화 #호적제도 #신분제동요 #농업붕괴 #비하인드한국사 #역사비하인드 1

비하인드 한국사 #94 :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인구 감소와 사회 변화

비하인드 한국사 #94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인구 감소와 사회 변화1. 임진왜란 이후 인구 급감임진왜란(1592~1598)과 정유재란 등 연이은 전쟁으로 조선의 인구는 극심하게 감소했다.임진왜란 직전(1543년) 약 416만 명이던 인구는, 1639년(인조 17년)에는 152만 명 수준으로 급감했다.경작지 역시 전쟁 전 150만 결에서 1601년 30만 결로 줄어들 만큼, 인구와 농업 기반 모두 큰 타격을 입었다.전쟁, 기근, 전염병, 납치, 피난, 노예화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인구가 줄었고, 실제 인구는 공식 통계보다 더 적었을 가능성도 있다.2. 인구 감소의 사회적 파장노동력 부족과 농업 붕괴농촌의 인구가 줄면서 경작지가 방치되고, 식량 생산이 급감했다. 이로 인해 기근과 유민(流民)이 늘어나 사회 불안..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