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비하인드 한국사

비하인드 한국사 #13 : 고려 말 성리학의 수용과 권문세족의 몰락

J.J.(제이제이) 2025. 5. 17. 11:07
반응형

고려 말 성리학의 수용과 권문세족의 몰락

고려 말기는 한국사에서 매우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이 시기에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사상이 도입되면서 기존의 지배 세력인 권문세족이 몰락하고, 새로운 세력인 신진사대부가 부상하게 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단순히 정치적인 권력 이동에 그치지 않고, 사회, 문화, 경제 전반에 걸친 대변혁을 가져왔습니다. 오늘은 이 역사적 전환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성리학의 도입과 확산

성리학은 중국 송대에 발전한 새로운 유학 사상으로, 우주의 근본 원리와 인간의 본성을 철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이 사상은 고려 충렬왕 때 안향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습니다. 이후 백이정이 원나라에 유학하여 성리학을 배워왔고, 이를 이제현, 박충좌 등에게 전수했습니다.

성리학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우주의 근본 원리와 인간의 심성 문제를 철학적으로 해명하려는 이론적 측면입니다. 둘째, 정치와 사회의 윤리 도덕으로서 군신부자의 의리를 강조하고, 정통과 대의명분을 중시하는 실천적 측면입니다.

고려 말에 이르러 이색, 이숭인, 정몽주, 길재 등이 성리학을 더욱 발전시켰고, 정도전과 권근에 이르러 성리학은 불교의 폐단뿐만 아니라 고려 말기 사회 전반을 비판하는 이념적 도구로 활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성리학에 입각하여 고려 사회의 개혁을 주장하며 커다란 사상적 파동을 일으켰습니다.

권문세족의 등장과 특징

권문세족은 고려 후기의 지배 세력으로, 1170년 무신정변 이후 새로운 정치·사회적 환경 속에서 성장한 집단입니다. 이들은 고려 전기의 문벌귀족, 조선의 양반사대부와 비견되는 지배층이었습니다.

권문세족의 구성은 다양했습니다. 전통 문벌귀족의 일부, 무신집권기에 부상한 관인층이나 무신 출신 가문, 그리고 원나라와의 관계 속에서 새롭게 등장한 신흥 세력 등이 포함되었습니다. 이들은 고려 전기의 문벌귀족에 비해 관료적 성격이 강했으며, 귀족 사회에서 관료 사회로 발전하는 중간 단계의 지배 세력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권문세족의 경제적 기반

권문세족의 경제적 기반은 주로 대규모 농장에 있었습니다. 몽골과의 장기 전쟁으로 황폐해진 농지를 개간할 목적으로 시행된 사급전 제도가 이들의 토지 집적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사급전은 주로 권문세족에게 지급되어 대토지 집적의 길을 열어주었고, 심지어 '모수사패'라 하여 사급전을 받지 않고도 받은 것처럼 꾸며 남의 토지를 빼앗는 행위까지 횡행했습니다.

당시 권문세족의 농장 규모는 '산천으로 경계를 삼았다'거나 '주군에 걸쳐 있었다'고 기록될 정도로 방대했습니다. 이러한 대규모 농장을 경작하기 위해 권문세족은 양인을 강제로 노비로 만드는 '양천교혼'의 방법을 사용하기도 했습니다. 이는 토지 탈점과 함께 고려 후기 사회 모순을 심화시키는 주된 요인이 되었습니다.

성리학 수용이 권문세족에 미친 영향

성리학의 수용은 권문세족에게 큰 위협이 되었습니다. 성리학을 수용한 신진사대부들은 권문세족의 불교 중심 세계관과 사회 질서를 비판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성리학의 이념을 바탕으로 사회 개혁을 주장하며, 권문세족의 특권과 비리를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특히 성리학자들은 "주자가례"에 의한 유교 의식의 보급에 전력을 다했습니다. 이들은 불교 의식뿐만 아니라 고대의 습속이나 무속을 배척하고, 유교적 생활 방식을 확산시키려 노력했습니다. 이는 권문세족의 문화적 기반을 흔드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권문세족의 몰락 과정

권문세족의 몰락은 점진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원간섭기에 간헐적으로 전개된 개혁 정치에서 권문세족은 주요 개혁 대상이 되었습니다. 그러나 결정적인 타격은 고려 말 신진사대부가 추진한 전제개혁에서 왔습니다.

전제개혁은 권문세족의 경제적 기반인 대토지 소유를 제한하고, 토지의 균등한 분배를 목표로 했습니다. 이로 인해 권문세족은 경제적 기반을 크게 상실하게 되었고, 결국 조선 건국 이후 완전히 몰락하게 되었습니다.

성리학 수용의 사회적 영향

성리학의 수용은 단순히 권문세족의 몰락을 가져온 것에 그치지 않고, 고려 사회 전반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첫째, 정치 이념의 변화입니다. 성리학은 군신 간의 의리와 충을 강조하며, 왕권 강화의 이론적 기반을 제공했습니다. 이는 이후 조선의 중앙집권적 통치 체제 확립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둘째, 사회 윤리의 변화입니다. 성리학은 인간 관계의 도덕적 기준을 제시하며, 사회 질서의 재편을 가져왔습니다. 특히 가족 관계에서의 효를 강조하며, 유교적 가족 윤리가 확산되었습니다.

셋째, 교육의 변화입니다. 성리학의 수용은 새로운 교육 제도와 내용의 도입을 가져왔습니다. 과거 제도의 개편, 서원의 설립 등이 이루어졌고, 이는 새로운 지식인 계층의 형성으로 이어졌습니다.

넷째, 경제 정책의 변화입니다. 성리학자들은 농본주의를 강조하며, 농업 중심의 경제 정책을 주장했습니다. 이는 이후 조선의 경제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결론

고려 말 성리학의 수용과 권문세족의 몰락은 한국사의 큰 전환점이었습니다. 이는 단순한 지배 세력의 교체를 넘어, 사회 전반의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성리학은 이후 조선 시대 500년 동안 국가 운영의 기본 이념이 되었고, 한국인의 사고방식과 생활 양식에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 시기의 변화는 우리에게 몇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줍니다. 첫째, 새로운 사상의 도입이 얼마나 큰 사회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둘째, 지배 세력의 변화가 사회 전반의 구조적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려줍니다. 셋째, 역사적 전환기에는 항상 새로운 가치관과 기존 질서 사이의 갈등이 존재한다는 점을 상기시킵니다.

오늘날 우리 사회도 급격한 변화의 시기를 겪고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과 사상이 끊임없이 유입되고 있고, 기존의 질서와 가치관이 도전받고 있습니다. 고려 말의 역사적 경험은 이러한 변화의 시기를 어떻게 현명하게 대처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문헌 출:

  1. https://blog.naver.com/63yhs/40134393064
  2.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70786
  3. http://contents.history.go.kr/front/km/print.do?levelId=km_024_0040_0010&whereStr=
  4. http://blog.naver.com/kohyj111/130160734882
  5. http://www.chaovietnam.co.kr/archives/27454
  6. http://world.kbs.co.kr/service/contents_view.htm?lang=k&menu_cate=history&id=&board_seq=41655&page=17&board_code=
  7.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nh/view.do?levelId=nh_021_0020_0020_0020_0020
  8. https://contents.history.go.kr/mobile/mid/ta_m71_0050_0030_0030_0030
  9. http://contents.nahf.or.kr/item/item.do?levelId=edeah.d_0003_0040_0030_0020
  10. https://nocturnal-landscape.tistory.com/128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