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시대별 요약 77

(연표)한국사 주요 사건 정리

한국사 연표를 주요 사건별로 정리합니다. 고조선 건국부터 2000년까지 수록했습니다.  연도사건기원전 2333고조선 건국 (단군 신화)기원전 108위만조선 멸망, 한사군 설치57신라 건국37고구려 건국18백제 건국313고구려, 낙랑군 축출372고구려, 불교 수용 (소수림왕)384백제, 불교 수용427고구려, 평양 천도 (장수왕)475백제 한성 함락 → 웅진 천도562가야 멸망 (대가야)668고구려 멸망 → 삼국 통일676신라 삼국 통일 완성698발해 건국 (대조영)918고려 건국 (왕건)926발해 멸망 (거란 침입)993서희 외교담판 → 강동 6주 확보1010거란 2차 침입 (강감찬)1018거란 3차 침입 격퇴 (귀주대첩)1170무신정변 발생1231몽골 1차 침입1270삼별초 항쟁 시작1392조선 건국 ..

한국사 시대별 핵심 개념 정리 100선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대비 – 핵심 키워드 100선입니다.선사시대부터 현대까지 주요 개념·인물·제도·사건을 시대순으로 정리했으며,기출빈도와 중요도 중심으로 선별했습니다.📘 한국사 고급 핵심 키워드 100선(시대별 정렬 / 간결한 설명 포함)🏞️ 선사·고조선구석기 시대 – 뗀석기, 이동생활신석기 시대 – 빗살무늬토기, 농경 시작청동기 시대 – 고인돌, 계급 발생철기 시대 – 세형동검, 명도전고조선 – 단군 신화, 8조법위만 조선 – 철기 도입, 한과 충돌🏛️ 고대 국가삼국의 건국 – 고구려(주몽), 백제(온조), 신라(박혁거세)광개토대왕 – 고구려 전성기, 만주 진출장수왕 – 평양 천도, 남진 정책근초고왕 – 백제, 중국·왜와 교류화랑도 – 신라 청소년 조직골품제 – 신라 신분제율령 반포 – 법치 국가..

한국사 시대별 핵심 키워드 정리 (1강~74강)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전체 요약본 – 시대별 핵심 정리를 아래와 같이 정리합니다.선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시대별 핵심 키워드를 살펴봅니다.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요약본시대별 핵심 정리 (1강~74강 통합)🏞️ 선사 시대구석기: 사냥·채집, 이동생활, 뗀석기신석기: 농경·정착, 빗살무늬토기, 움집청동기: 계급 발생, 고인돌, 반달돌칼철기: 철제 도구 사용, 초기 국가 등장🏛️ 고대 국가국가 특징고조선단군 신화, 8조법, 위만 조선 → 한 무제 멸망부여·고구려·옥저·동예·삼한연맹체 국가고구려광개토대왕, 장수왕, 수·당과 전쟁백제근초고왕, 중국·일본과 교류신라신문왕, 화랑도, 골품제, 삼국 통일가야철 생산, 대가야 중심🏯 통일신라와 발해통일신라: 집사부 중심 행정, 9주 5소경, 불교 융..

한능검 74강(끝) - 민주주의의 진전과 현대 한국 사회의 변화

19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 대한민국은 직선제 개헌과 문민정부 수립을 통해민주주의가 본격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이후 경제 위기(IMF 사태), 남북관계 변화, 정보화·다문화 사회 진입 등현대 한국 사회는 다양한 과제를 경험하며 자유와 복지, 참여와 다양성이 확산된시민 중심 사회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74강민주주의의 진전과 현대 한국 사회의 변화 📌 목차문민정부 수립과 권위주의 청산IMF 경제 위기와 극복시민 사회와 문화의 변화정보화와 세계화 시대의 한국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마무리 및 총정리 안내1. 문민정부 수립과 권위주의 청산내용 세부 사항1993김영삼 대통령 → 첫 문민정부 출범군 정치 개입 종식하나회 해체, 군내 정치 중립화부정부패 척결금융실명제, 역사 바로 세우..

한능검 73강 - 전두환 정권과 6월 민주항쟁

박정희 사망 이후 혼란 속에서 전두환이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하며제5공화국이 수립됩니다. 이 시기 5·18민주화운동의 유혈 진압과장기 군사정권에 대한 국민의 분노는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폭발하게 됩니다.결국 국민의 요구에 따라 직선제 개헌이 수용되며대한민국 민주주의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게 됩니다.📘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73강전두환 정권과 6월 민주항쟁 📌 목차전두환의 집권과 제5공화국5·18민주화운동장기 군사통치와 국민 저항6월 민주항쟁과 직선제 쟁취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다음 강 예고1. 전두환의 집권과 제5공화국연도 내용1979.12.1212·12 군사 반란 → 전두환 계엄령 확대1980.5.17전국 비상계엄 → 국회 해산, 언론 통제1981대통령 간선제로 제5공화국 출범정치·..

한능검 72강 - 전후 복구와 산업화, 민주화의 길

6·25전쟁 이후 대한민국은 전쟁의 상처를 극복하고 복구와 재건을 추진했습니다.이승만 정부는 장기 집권 시도 속에 4·19혁명으로 퇴진했고,박정희 정부는 군사정권 하의 고도성장과 경제 개발을 이루었으나민주주의 억압과 인권 침해로 비판을 받았습니다.이 시기는 산업화와 민주화가 충돌하며 공존한 시기였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72강전후 복구와 산업화, 민주화의 길  📌 목차이승만 정부와 4·19혁명박정희 정부와 경제 개발유신체제와 민주화 운동산업화와 민주화의 전개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다음 강 예고1. 이승만 정부와 4·19혁명항목 내용경제·사회전후 복구, 미국 원조 경제정치적 문제장기 집권 시도 → 사사오입 개헌(1954)부정 선거(1960)3·15 부정 선거 → 4·19혁명 발생📌 4·..

한능검 71강 -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6·25전쟁의 발발

광복 이후 미·소의 대립과 좌우 갈등 속에서1948년 남한은 대한민국 정부를 수립, 북한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세우며한반도는 사실상 분단되었습니다.이후 1950년,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6·25전쟁이 발발하며남북한은 치열한 전쟁에 돌입했고, 이는 분단 고착화의 결정적 계기가 됩니다.📘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71강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6·25전쟁의 발발 📌 목차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북한 정권 수립6·25전쟁의 발발과 경과정전 협정과 전쟁의 영향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다음 강 예고1.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연도 내용1948.5남한만의 5·10 총선거 실시 (UN 감시 하)1948.7.17대한민국 헌법 제정·공포1948.8.15대한민국 정부 수립 (초대 대통령: 이승만)1948.12UN, 대..

한능검 70강 - 광복과 분단, 미·소 군정의 시작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조선은 해방을 맞이했지만,이후 조선은 미국과 소련의 군사 분할 점령에 의해 통일된 자주 국가 건설에 실패합니다.신탁통치 논의와 좌우 대립, 미·소 군정의 설치는 한반도의 분단을 고착화시키며광복의 기쁨과 분단의 비극이 동시에 시작된 시기였습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70강광복과 분단, 미·소 군정의 시작 📌 목차일본의 패망과 광복미·소 군정의 성립신탁통치 논의와 좌우 대립분단의 심화와 독립운동 세력의 대응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다음 강 예고1. 일본의 패망과 광복1945년 8월 15일, 일본 포츠담 선언 수락 → 무조건 항복조선은 35년 일제 식민지배에서 해방그러나 미국과 소련은 38도선을 기준으로 군정 분할→ 북쪽: 소련군 / 남쪽: 미군 ..

한능검 69강 - 한국 광복군과 국내외 독립 전선의 연합

1930년대 후반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중국 충칭에서 활동을 재개하고,1940년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여 본격적인 무장 독립운동을 전개합니다.이들은 연합국과 협력, 국내 진공작전과 대일 선전포고를 준비하며조선의 독립을 위한 국제 연합 전선을 형성했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69강한국 광복군과 국내외 독립 전선의 연합 📌 목차임시정부의 재건과 이동한국 광복군의 창설과 활동연합국과의 연대국내 진공작전 준비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다음 강 예고1. 임시정부의 재건과 이동1932년 윤봉길 의거 이후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 확대상하이 → 항저우 → 창사 → 충칭 등지로 이동충칭(1940~1945): 임시정부 최종 정착지이시기 임시정부는 광복군 조직과 외교 강화에 집중📌 충칭 정착 이후 임시정부..

한능검 68강 - 민족 말살 정책과 한국인의 저항

1930년대 후반부터 일본은 본격적인 전쟁 준비를 위해한국인의 민족 정체성을 말살하고 황국신민화를 강요했습니다.창씨개명, 신사참배, 조선어 금지, 한국사 왜곡 등모든 생활과 사상 영역에서 동화를 강요하며 강압적 식민 통치를 강화했습니다.이에 맞서 한국인들은 종교·문화·교육·언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했습니다.📘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68강민족 말살 정책과 한국인의 저항 📌 목차민족 말살 정책의 추진 배경황국신민화 정책의 내용언론·교육·종교 탄압한국인의 문화·정신적 저항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다음 강 예고1. 민족 말살 정책의 추진 배경시기 배경1931만주사변 이후 대륙 침략 본격화1937중일전쟁 발발 → 조선인의 전쟁 동원 필요1941태평양전쟁 → 총력전 체제 돌입📌 일제는 조선을 전쟁 수..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