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무조건 항복으로 조선은 해방을 맞이했지만,
이후 조선은 미국과 소련의 군사 분할 점령에 의해 통일된 자주 국가 건설에 실패합니다.
신탁통치 논의와 좌우 대립, 미·소 군정의 설치는 한반도의 분단을 고착화시키며
광복의 기쁨과 분단의 비극이 동시에 시작된 시기였습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70강
광복과 분단, 미·소 군정의 시작
📌 목차
- 일본의 패망과 광복
- 미·소 군정의 성립
- 신탁통치 논의와 좌우 대립
- 분단의 심화와 독립운동 세력의 대응
-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1. 일본의 패망과 광복
- 1945년 8월 15일, 일본 포츠담 선언 수락 → 무조건 항복
- 조선은 35년 일제 식민지배에서 해방
- 그러나 미국과 소련은 38도선을 기준으로 군정 분할
→ 북쪽: 소련군 / 남쪽: 미군 진주
📌 해방은 곧 외세에 의한 분할 통치의 시작이 되었음
2. 미·소 군정의 성립
구역 내용
북한(소련군) | 사회주의 질서 확립, 토지개혁 추진 |
남한(미군정) | 미군정청 설치, 구 일본 행정관 활용 |
공통점 | 양 진영 모두 자국 이념에 맞게 통치 기반 정비 |
📌 미·소 군정은 한반도 자주 독립을 위한 중간 단계가 되지 못함
3. 신탁통치 논의와 좌우 대립
- 1945년 12월,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
→ 최장 5년간 신탁통치 결정 (미·영·소·중 4개국) - 남한 내부 반응:
- 우익(김구·이승만 등): 신탁통치 절대 반대
- 좌익(박헌영 등): 조건부 찬성 → 이후 입장 바뀜
- 전국적으로 신탁통치 찬반 운동 격화 → 좌우 갈등 심화
📌 신탁통치는 분단의 정치적 도화선이 되었음
4. 분단의 심화와 독립운동 세력의 대응
- 좌우 합작 시도: 여운형·김규식 등 중도파 → 좌우합작위원회 구성(1946)
- 이승만: 단독정부 수립 주장(정읍 발언, 1946.6)
- 김구: 통일정부 수립 위한 남북협상 참여(1948)
→ 결과 없이 실패 → 결국 남북 분단 가속화
📌 해방 후 갈등은 자주적 통일 실패와 분단 체제 고착으로 이어짐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광복(1945.8.15): 포츠담 선언, 일본 항복
- 미·소 군정 설치: 38도선 분할 통치
- 모스크바 3국 회의: 신탁통치 결정 → 찬반 대립
- 좌우합작운동: 여운형·김규식
- 정읍 발언(1946): 이승만의 단독정부 주장
🧠 복습 퀴즈
- 광복 직후 한반도가 분할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 신탁통치 논의에 대한 남한 내 반응은 어땠나요?
- 여운형·김규식은 어떤 노력을 시도했나요?
- 이승만과 김구의 분단 대응은 어떻게 달랐나요?
▶️ 다음 강 예고
📘 71강 –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6·25전쟁의 발발
- 1948년 정부 수립 과정
- 북한의 정권 수립
- 6·25전쟁의 배경과 전개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광복 #미소군정 #신탁통치 #좌우합작운동 #이승만 #김구 #38도선분단 #한국사기출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시대별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72강 - 전후 복구와 산업화, 민주화의 길 (0) | 2025.04.07 |
---|---|
한능검 71강 -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6·25전쟁의 발발 (0) | 2025.04.07 |
한능검 69강 - 한국 광복군과 국내외 독립 전선의 연합 (0) | 2025.04.07 |
한능검 68강 - 민족 말살 정책과 한국인의 저항 (0) | 2025.04.07 |
한능검 67강 - 의열단과 국내외 항일 무장 투쟁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