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시대별 요약

한능검 69강 - 한국 광복군과 국내외 독립 전선의 연합

J.J.(제이제이) 2025. 4. 7. 22:02
반응형

1930년대 후반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중국 충칭에서 활동을 재개하고,
1940년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여 본격적인 무장 독립운동을 전개합니다.
이들은 연합국과 협력, 국내 진공작전과 대일 선전포고를 준비하며
조선의 독립을 위한 국제 연합 전선을 형성했습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69강

한국 광복군과 국내외 독립 전선의 연합

 


📌 목차

  1. 임시정부의 재건과 이동
  2. 한국 광복군의 창설과 활동
  3. 연합국과의 연대
  4. 국내 진공작전 준비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6. 다음 강 예고

1. 임시정부의 재건과 이동

  • 1932년 윤봉길 의거 이후 중국 국민당 정부의 지원 확대
  • 상하이 → 항저우 → 창사 → 충칭 등지로 이동
  • 충칭(1940~1945): 임시정부 최종 정착지
  • 이시기 임시정부는 광복군 조직과 외교 강화에 집중

📌 충칭 정착 이후 임시정부는 실질적 정부 기능을 회복


2. 한국 광복군의 창설과 활동

  • 1940년 9월, 충칭에서 한국 광복군 창설
  • 초대 총사령관: 지청천, 부사령관: 김원봉
  • 임시정부 산하 정규군 → 무장 항일 독립 전선 구축

주요 활동 내용

국내 진공작전 준비 특수 훈련, 공작대 편성
대일 선전포고(1941.12) 연합국 참전 공식 선언
연합군 협력 OSS(미군 정보국)과 협력 작전 훈련

📌 광복군은 외교·군사 양면에서 항일 투쟁의 상징


3. 연합국과의 연대

  • 카이로 회담(1943): 조선의 독립 첫 국제 공인
  • 한국 독립을 전제로 한 전후 질서 구상
  • 광복군은 연합국 OSS와 합동 훈련(국내 침투 작전 준비)
  • 인도·버마 전선 파병: 대일 군사 작전 참여

📌 국제적 독립 인정은 광복 정당성 확보에 핵심적 역할


4. 국내 진공작전 준비

  • 1945년 8월 18일, OSS와 광복군이 합작해 국내 진공작전 개시 예정
  • 그러나 8월 15일 일본의 갑작스런 항복으로 실행되지 못함
  • 비록 작전은 무산되었지만,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독립 의지 상징

📌 독립은 외세 덕분만이 아니라, 지속된 민족의 투쟁 결과임을 보여줌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한국 광복군 창설(1940): 충칭, 지청천·김원봉
  • 대일 선전포고(1941): 연합국 협력 체제 구축
  • 카이로 회담(1943): 조선 독립 국제 공인
  • OSS 합동 작전: 국내 진공작전 계획

🧠 복습 퀴즈

  1. 한국 광복군의 창설 목적과 주요 활동은 무엇이었나요?
  2. 충칭 정착 이후 임시정부의 변화는?
  3. 카이로 회담이 한국 독립에 끼친 의미는?
  4. 국내 진공작전이 가지는 역사적 상징성은?

▶️ 다음 강 예고

📘 70강 – 광복과 분단, 미·소 군정의 시작

  • 일본의 패망과 광복
  • 신탁통치 논의와 좌우 갈등
  • 미·소 군정 체제의 전개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한국광복군 #대한민국임시정부 #지청천 #김원봉 #대일선전포고 #카이로회담 #국내진공작전 #한국사기출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