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시대별 요약

한능검 66강 - 무장 독립운동과 1920년대의 항일 투쟁

J.J.(제이제이) 2025. 4. 7. 22:00
반응형

1920년대는 무장 독립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시기로,
봉오동 전투, 청산리 대첩 등에서 독립군은 일본군에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이후 독립군 부대는 만주에서 3부 체제로 재편되어 조직적인 항일 투쟁을 이어갔으며,
이는 한국 독립운동의 무장 노선 확립에 결정적 기여를 했습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66강

무장 독립운동과 1920년대의 항일 투쟁

 

📌 목차

  1. 무장 독립운동의 배경
  2.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3. 간도참변과 독립군 재편
  4. 3부 체제와 독립군 기지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6. 다음 강 예고

1. 무장 독립운동의 배경

배경 내용

3·1운동 이후 비폭력 운동 한계 인식 → 무장 투쟁 필요성 확산
해외 독립군 기지 형성 만주·연해주 중심, 무장 세력 성장
무정부 상태의 간도 독립군 활동에 유리한 환경 조성

📌 1920년대는 조직적·전투적 독립운동의 전성기


2.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

전투 내용

봉오동 전투(1920.6)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주도, 일본군 157명 사살
청산리 대첩(1920.10) 김좌진의 북로군정서 주력, 수천 명 일본군 격퇴
결과 독립군 사기 진작, 일본의 보복 강화

📌 청산리 전투는 조선 무장 독립운동 사상 최대 승리


3. 간도참변과 독립군 재편

  • 청산리 전투 이후 일본은 간도 주민 무차별 학살(간도참변)
  • 독립군은 일제의 압박을 피해 자유시(러시아)로 이동
  • 자유시 참변(1921): 소련 적군과 충돌 → 독립군 분열
  • 이후 만주로 귀환 → 3부 체제 형성

📌 간도참변 → 자유시 참변 → 3부 재편
무장 독립운동의 중요한 전환점


4. 3부 체제와 독립군 기지

3부 명칭 지역 주요 조직

참의부 남만주 정의부와 통합 시도
정의부 남만주 민정·군정 분리 통치
신민부 북만주 김좌진 중심, 민족 자치 실현
  • 각 부는 행정·군사 기능을 갖춘 자치 정부 역할
  • 독립군 훈련소 운영, 국내 진공 작전 전개

📌 3부 체제는 무장 독립운동의 제도화와 근대화의 기반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봉오동 전투(홍범도): 일본군 격파, 독립군 사기 진작
  • 청산리 대첩(김좌진): 무장투쟁의 상징적 승리
  • 간도참변: 일본군 보복 학살
  • 자유시 참변(1921): 독립군 분열
  • 3부 성립: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 무장 자치 조직

🧠 복습 퀴즈

  1. 봉오동 전투와 청산리 대첩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2. 간도참변이 독립군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3. 자유시 참변의 결과는 어떤 변화로 이어졌나요?
  4. 3부 체제가 항일운동에서 가지는 의미는?

▶️ 다음 강 예고

📘 67강 – 의열단과 국내외 항일 무장 투쟁

  • 김원봉과 의열단의 활약
  • 도시 중심의 폭탄 투쟁
  • 일제의 탄압과 전략 변화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무장독립운동 #봉오동전투 #청산리대첩 #간도참변 #자유시참변 #3부성립 #김좌진 #홍범도 #한국사기출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