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시대별 요약

한능검 68강 - 민족 말살 정책과 한국인의 저항

J.J.(제이제이) 2025. 4. 7. 22:01
반응형

 

1930년대 후반부터 일본은 본격적인 전쟁 준비를 위해
한국인의 민족 정체성을 말살하고 황국신민화를 강요했습니다.
창씨개명, 신사참배, 조선어 금지, 한국사 왜곡 
모든 생활과 사상 영역에서 동화를 강요하며 강압적 식민 통치를 강화했습니다.
이에 맞서 한국인들은 종교·문화·교육·언론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저항했습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68강

민족 말살 정책과 한국인의 저항

 


📌 목차

  1. 민족 말살 정책의 추진 배경
  2. 황국신민화 정책의 내용
  3. 언론·교육·종교 탄압
  4. 한국인의 문화·정신적 저항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6. 다음 강 예고

1. 민족 말살 정책의 추진 배경

시기 배경

1931 만주사변 이후 대륙 침략 본격화
1937 중일전쟁 발발 → 조선인의 전쟁 동원 필요
1941 태평양전쟁 → 총력전 체제 돌입

📌 일제는 조선을 전쟁 수행의 병참기지로 삼기 위해
정체성 말살과 동화 정책을 강하게 추진


2. 황국신민화 정책의 내용

정책 내용

창씨개명(1939) 일본식 이름 강요 → 민족 정체성 파괴
신사참배 천황 숭배 강요 → 종교·사상 자유 억압
국어 상용화 조선어 금지, 일본어 교육 강제
조선사 왜곡 역사 교육 통제, 일본 중심의 역사관 주입

📌 “내선일체”를 내세워 한국인을 일본인으로 만들려 함


3. 언론·교육·종교 탄압

  • 신문·잡지 폐간: 동아일보, 조선일보 등 강제 폐간(1940년대 초)
  • 학교 통폐합·교육 개편: 조선어 교육 축소, 황국신민 교육
  • 종교 탄압: 천주교·기독교의 신사참배 강요, 거부 시 체포
  • 문화 활동 검열: 문학·연극·음악 등 민족적 요소 억제

📌 생활 전반에 걸친 동화 강요와 문화 말살


4. 한국인의 문화·정신적 저항

분야 저항 사례

종교 신사참배 거부: 손양원, 주기철 등 순교
교육 야학·민간 교육 → 민족 교육 지속
문학 저항 시와 소설 창작 → 이상화, 이육사, 윤동주
언론 해외에서 민족지 간행 지속

📌 한국인은 비폭력적이면서도 강인한 문화적 저항을 이어감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황국신민화 정책: 창씨개명, 신사참배, 조선어 금지
  • 민족 교육 말살: 조선사 왜곡, 학교 통폐합
  • 종교 탄압: 신사참배 강요, 순교 사례
  • 문화 저항: 윤동주, 이육사, 이상화 등 저항 문학

🧠 복습 퀴즈

  1. 황국신민화 정책의 핵심 내용은 무엇인가요?
  2. 창씨개명과 신사참배가 한국인에게 미친 영향은?
  3. 한국인들은 어떤 방식으로 정신적 저항을 펼쳤나요?
  4. 일제의 언론·교육 통제가 갖는 의도는?

▶️ 다음 강 예고

📘 69강 – 한국 광복군과 국내외 독립 전선의 연합

  •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재정비
  • 한국 광복군 창설
  • 연합국과의 협력과 국내 진공작전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황국신민화정책 #창씨개명 #신사참배 #조선어금지 #윤동주 #저항문학 #문화말살정책 #한국사기출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