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해의 건국과 대조영의 고구려 계승 논란
발해는 한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고대 국가입니다. 698년 대조영에 의해 건국된 발해는 고구려 멸망 이후 만주 지역에서 우리 민족의 역사를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발해의 건국 과정과 대조영의 출신, 그리고 발해가 과연 고구려를 계승했는지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란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주제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발해의 건국 배경
고구려가 668년 멸망한 후에도 만주 지역에서는 고구려 유민들의 저항이 계속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조영은 698년 동모산(지금의 중국 지린성 돈화현)에서 고구려 유민과 말갈족을 규합하여 새로운 국가를 세웠습니다. 처음에는 국호를 진(震)이라 했다가 나중에 발해로 바꾸었습니다.
발해의 건국은 당시의 국제 정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습니다. 당나라의 세력이 약화되고 있었고, 거란의 이진충이 반란을 일으키는 등 혼란한 상황이었습니다. 대조영은 이러한 틈을 타 독자적인 세력을 구축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대조영의 출신과 고구려 계승 논란
대조영의 출신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습니다. 전통적으로는 대조영을 고구려의 장수 출신으로 보는 견해가 강했습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대조영이 말갈족 출신이라는 주장을 펴기도 합니다.
고구려 장수설을 지지하는 측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합니다:
-발해의 지배층이 대부분 고구려 유민이었다는 점
-발해의 문화와 제도가 고구려를 계승했다는 점
-당시 기록에서 대조영을 '고려인'으로 지칭한 사례가 있다는 점
반면 말갈족 출신설을 주장하는 측에서는 이렇게 반박합니다:
-대조영의 이름이 말갈식이라는 점
-초기 발해의 지배층에 말갈인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는 점
-일부 중국 사서에서 대조영을 '말갈족'으로 기록한 사례가 있다는 점
현재 한국의 주류 역사학계에서는 대조영을 고구려 출신으로 보는 견해가 우세합니다. 그러나 대조영이 말갈족 출신이었더라도, 이미 고구려에 동화되어 고구려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발해의 고구려 계승 여부
발해가 고구려를 계승했는지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습니다. 이를 지지하는 입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거를 제시합니다:
-발해의 지배층이 대부분 고구려 유민이었다는 점
-발해의 영역이 옛 고구려 땅의 상당 부분을 포함했다는 점
-발해의 문화와 제도가 고구려의 것을 많이 계승했다는 점
-일본에 보낸 국서에서 스스로를 '고려'로 지칭한 사례가 있다는 점
반면 이에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이렇게 주장합니다:
-발해의 구성원 중 상당수가 말갈족이었다는 점
-발해의 문화가 당나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점
-발해가 공식적으로 고구려 계승을 표방하지 않았다는 점
-신라와의 관계에서 고구려 계승을 내세우지 않았다는 점
이러한 논란에도 불구하고, 현재 한국 역사학계의 주류적 견해는 발해를 고구려의 계승국으로 보는 것입니다. 이는 '남북국시대'라는 역사 인식과도 연결됩니다.
발해의 발전과 문화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발해가 고구려의 문화와 전통을 상당 부분 계승했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발해는 건국 이후 빠르게 성장하여 만주와 연해주 지역의 강국으로 발돋움했습니다.
발해의 정치 제도는 고구려의 것을 기반으로 하되 당나라의 제도를 일부 수용했습니다. 3성 6부제를 채택했지만, 그 운영에 있어서는 발해만의 특색이 강했습니다. 또한 5경 15부 62주라는 독특한 행정 구역 체계를 갖추었습니다.
문화적으로도 발해는 고구려의 전통을 이어받되 새로운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상경성의 구조나 무덤 양식 등에서 고구려의 영향이 뚜렷이 나타납니다. 동시에 당나라 문화의 영향도 받아들여 독특한 발해 문화를 형성했습니다.
특히 발해의 수도인 상경용천부는 당시 동아시아의 국제도시로 번영했습니다. 이곳에서 출토된 유물들은 발해 문화의 국제성과 독창성을 잘 보여줍니다.
발해사 연구의 현재와 과제
발해사 연구는 여전히 많은 과제를 안고 있습니다. 사료의 부족, 유적 발굴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이 많기 때문입니다. 특히 발해의 건국 초기 상황이나 멸망 과정 등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또한 발해사 연구는 국제적인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발해의 영역이 현재의 중국, 러시아, 북한 등에 걸쳐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각국의 정치적 입장 차이로 인해 학술 교류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특히 중국에서는 발해를 자국사의 일부로 편입하려는 시도가 있어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학계에서는 발해의 한국사적 정체성을 강조하며 대응하고 있습니다.
발해사의 의의와 현대적 함의
발해사가 갖는 의의는 매우 큽니다. 첫째, 발해는 고구려 멸망 이후 만주 지역에서 우리 민족의 역사를 이어갔다는 점에서 중요합니다. 둘째, 발해는 당시 동아시아의 강국으로서 국제 관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셋째, 발해의 문화는 고구려 문화를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발전을 이루어 한국 문화의 다양성과 연속성을 보여줍니다.
현대적 관점에서 발해사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갖습니다:
다문화 사회의 모델: 발해는 고구려인과 말갈인 등 다양한 민족이 어우러져 살았던 다문화 국가였습니다. 이는 현대 한국 사회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합니다.
동북아 협력의 역사적 근거: 발해는 당, 신라, 일본 등과 활발히 교류했습니다. 이는 현대 동북아 국가들의 협력 관계 구축에 역사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영토 의식의 확장: 발해의 영역은 현재의 한반도 북부, 만주, 연해주 지역을 아우릅니다. 이는 한국인의 역사적 영토 의식을 넓히는 데 기여합니다.
민족 정체성의 재확인: 발해사 연구는 한민족의 역사적 정체성을 재확인하고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결론
발해의 건국과 대조영의 고구려 계승 문제는 여전히 많은 논란을 안고 있습니다. 그러나 발해가 한국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발해는 고구려의 전통을 이어받아 만주 지역에서 우리 민족의 역사를 이어갔고,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습니다.
앞으로 발해사 연구에는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사료의 발굴, 고고학적 연구의 진전, 국제적 학술 교류 등을 통해 발해의 실체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한국사의 폭과 깊이를 더욱 확장할 수 있을 것입니다.
발해사 연구는 단순히 과거의 사실을 밝히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그것은 현대 한국인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미래를 향한 비전을 제시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우리는 발해의 역사를 통해 다양성 속의 통일성, 국제 협력의 중요성, 문화적 창의성 등 현대 사회에 필요한 많은 가치들을 배울 수 있습니다.
발해사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더 풍부하고 균형 잡힌 역사 인식을 가질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동북아 지역의 평화와 협력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참고 및 인용 문헌 출처: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h41_0030_0040_0020
http://contents.history.go.kr/eh_kk/teach/notebook/data/09_d01.htm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21626
https://hangyo.com/news/article.html?no=9279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ta/view.do?levelId=ta_m71_0040_0010_0030_0010
http://www.atla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51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비하인드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하인드 한국사 #7: 삼국시대 불교 전파 과정의 정치적 의도 (2) | 2025.05.15 |
---|---|
비하인드 한국사 #6: 신라 화랑도의 실제 역할과 정치적 영향 (1) | 2025.05.15 |
비하인드 한국사 #4: 백제 의자왕의 몰락과 숨겨진 이야기 (2) | 2025.05.09 |
비하인드 한국사 #3 : 고구려의 수나라 격퇴와 을지문덕의 전략 (0) | 2025.05.09 |
비하인드 한국사 #2 : 신라의 삼국 통일, 완전한 통일이었을까? (0) | 2025.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