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이 2월 28일 대구 중구 동성로에서 열린 촛불문화제에 참석해 연설한 내용이 눈길을 끈다.
박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단의 일원으로도 활동하는 등 여러 몫을 하고 있다.
조국 전 조국혁신당 대표가 가장 잘 한 일 중 하나는 박은정 의원을 비례대표 1번으로 영입한 것이라는 얘기까지 나온다.
'수구(꼴통)의 심장'이 돼버린 대구 출신으로 이런 인물이 있다는 것은 대구의 축복이다.
대구가 처음부터 '수구의 심장'이었던 것은 아니다. 이승만 독재정권의 부정과 부패에 항거하여 1960년 2·28민주운동이 일어났던 곳이 대구이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의 민주화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운동은 이후 3·15마산의거와 4·19혁명의 도화선이 되었다. 당시만 해도 대구는 우리 나라에서 시민들의 민주의식이 가장 깨어 있는 곳이었던 것이다.
이에 앞서 1956년 제3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대구 시민들은 진보당의 조봉암 후보에게 72.3%라는 압도적 지지를 보냈다. 그만큼 1960년대까지 대구는 '조선의 모스크바'로 불릴 정도로 진보적이었다.
1972년 유신체제 직후 대구가 본격적으로 보수화된 것도 아니다. 1985년 총선까지도 대구는 야당을 지지(6명 중 4명 당선)했다.
대구의 보수화는 1987년 대선을 기점으로 급격히 진행됐다. 그 때부터 시작된 지역주의 정치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 맞겠다.
따라서 대구가 보수화된 것은 이념적 변화 때문이 아니라 지역주의 정치의 부수적 효과라고 볼 수 있다. 이를 적극적으로 이용 또는 악용한 세력이 그때나 지금이나 정치인들임은 두 말할 나위가 없다.
대구의 정치적 현주소는 '보수의 심장'이 아니다. 대구를 정치적 텃밭으로 삼고 있는 국민의힘이 12·3비상계엄을 계기로 보수의 가치인 헌정질서와 법치주의를 헌 신짝 버리듯이 버렸기 때문이다. 이 부분은 국민의힘 김상욱 의원도 여러 차례 지적한 바 있다. 국민의힘이 더이상 '보수 정당' 이 아니듯이 대구도 '보수의 심장'이 아닌 것이다.
김순덕 동아일보 고문의 지적대로 국민의힘을 '수구(꼴통)의 힘'이라 불러야 한다면, 대구 또한 '수구(꼴통)의 심장'이라는 조롱을 피하기 어렵다.
다시 박은정 의원 얘기로 돌아간다. 고향 주민들의 정치적 성향을 잘 알기에 촛불집회에서 연설할 때의 소회도 남달랐을 것이다.
박 의원의 대구촛불문화제 연설문을 보면, 대구 시민들이 귀담아 들어야 할 대목이 많다.
다음은 박 의원의 연설문 전문이다.
'📰 세상 읽기(시사 정보) > 🗳 정치' 카테고리의 다른 글
[Q & A] 서천호 의원 "헌법재판소 쳐부수자" 발언 파장 (4) | 2025.03.04 |
---|---|
미뤄지는 尹탄핵 선고일...선거사무 비용 367억 원 절감 못하나 (0) | 2025.03.02 |
[전문]국회 측 이원재 변호사 최종 변론...부정선거 음모론 근거 없다 (2) | 2025.02.28 |
[전문]국회 측 송두환 변호사 최종 변론...광인에게 운전대 못 맡긴다 (6) | 2025.02.28 |
[전문]국회 측 김진한 변호사 최종 변론...헌재의 역할, 시민의 용기 (8) | 2025.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