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시대별 요약

한능검 35강 - 고려 말 사회 개혁 운동과 조선 건국의 배경

J.J.(제이제이) 2025. 4. 2. 22:01

고려 말, 권문세족의 부활과 외세 침입으로 정치·사회적 혼란이 심화되자 성리학을 수용한 신진사대부가 사회 개혁을 주도하게 됩니다. 이들은 권문세족의 특권을 비판하고 자주성과 민생 회복을 강조했습니다. 1388년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은 급진 개혁파와 신흥 무인 세력의 결집으로 이어졌고, 이는 곧 고려의 몰락과 조선 건국으로 나아가는 결정적 계기가 됩니다. 이후 정도전을 중심으로 성리학 이념에 입각한 새로운 국가 체제가 마련되었으며, 이는 단순한 왕조 교체를 넘어 사상과 제도의 대전환으로 이어졌습니다. 이 강의를 통해 조선 건국의 정치적·사상적 배경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35강

고려 말 사회 개혁 운동과 조선 건국의 배경


📌 목차

  1. 고려 말 사회 개혁 운동의 배경
  2. 위화도 회군과 권력 교체
  3. 신진사대부와 신흥 무인 세력
  4. 조선 건국을 향한 흐름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6. 다음 강 예고

1. 고려 말 사회 개혁 운동의 배경

  • 공민왕 사후, 고려는 다시 혼란기에 접어듬
  • 권문세족의 부활, 왕권의 약화, 외세 침입(왜구·홍건적) 등으로 정치적 혼란 가중
  • 신진사대부는 개혁 추진, 권문세족과 갈등
  • 개혁 필요성이 높아졌으나 왕권의 미약함으로 실현 어려움

📌 개혁의 중심은 성리학 기반의 신진사대부였고, 배경에는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자주성 회복이 있었다


2. 위화도 회군과 권력 교체

⚔️ 위화도 회군 (1388)

  • 이성계가 명나라의 철령위 설치에 반대해 회군
  • 요동 정벌 명령을 받은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군을 돌려 개경으로 복귀
  • 이는 곧 최영 실각, 우왕 폐위, 이성계 세력의 정치 주도권 장악으로 이어짐

📌 위화도 회군은 조선 건국의 직접적 계기


3. 신진사대부와 신흥 무인 세력

  • 신진사대부: 성리학 수용, 사회 개혁 주장
    • 온건파(정몽주): 고려 유지 + 점진적 개혁
    • 급진파(조준, 정도전): 고려 타파 + 새로운 왕조 건설 주장
  • 신흥 무인 세력: 이성계를 중심으로 성장한 군사적 실력자
    • 과거 무신정권과는 달리, 신진 지식인과 협력하며 정치 세력화

📌 신진사대부 + 신흥 무인 세력의 연합 → 고려 멸망과 조선 건국으로 이어짐


4. 조선 건국을 향한 흐름

  • 1388 위화도 회군
  • 1389 우왕·창왕 폐위 → 공양왕 즉위 (형식적 왕)
  • 1392 이성계, 조선을 건국, 한양을 수도로 삼음
  • 정도전 중심의 성리학 이념에 기초한 국가 건설

📌 조선 건국은 왕조 교체였을 뿐만 아니라, 사상·제도·사회 구조까지 대변혁의 시작이었다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위화도 회군: 조선 건국의 직접 계기
  • 신진사대부: 성리학 수용, 온건파/급진파 분화
  • 신흥 무인 세력: 이성계 중심, 군사 기반 정치 세력
  • 정도전: 조선 건국의 설계자, 성리학 정치 이념 정립

🧠 복습 퀴즈

  1. 위화도 회군이 조선 건국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2. 신진사대부는 어떤 이념과 배경을 가진 세력인가요?
  3. 온건파와 급진파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4. 조선 건국에 앞장선 인물들과 그들의 역할은?

▶️ 다음 강 예고

📘 36강 – 조선 건국과 정도전의 개혁 정치

  • 조선 건국 초기의 정치 구조
  • 정도전의 통치 이념과 제도 개편
  • 조선의 유교 국가 체제 확립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위화도회군 #이성계 #신진사대부 #정도전 #조선건국 #고려멸망 #한국사기출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