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10월 4일, 두 번째 남북 정상회담의 결과로 발표된 ‘10·4 남북 공동 선언’은 6·15 선언의 이행과 확대를 목표로 한 실천적 합의였습니다. 이 선언은 경제협력, 평화체제 구축, 인도주의 문제 해결 등 다방면에서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담고 있었으며, 한반도 평화 분위기를 확산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습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47
10·4 남북 정상 선언 – 평화와 번영을 위한 실천적 약속
📜 기출 사료 발췌
“남과 북은 6·15 공동 선언을 적극 실천해 나가기로 하며, 서해평화협력지대를 설치하고 경제협력을 확대하며,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공동의 노력을 지속해 나가기로 하였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2007년 10·4 선언의 주요 내용을 요약한 것으로, 남북 간의 실질적 협력 확대에 초점을 둡니다. 노무현 대통령과 김정일 국방위원장 간의 두 번째 정상회담에서 발표된 이 선언은 6·15 선언의 후속 조치로서, 구체적인 평화·경제·교류 방안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서해평화협력지대 설치, 철도 및 도로 연결, 경제특구 조성 등은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공동 번영을 추구하는 실천적 의미를 지녔습니다.
핵심 키워드:
- 10·4 선언 → 실천 중심의 남북 협력 합의문
- 서해평화협력지대 → 군사적 긴장 완화와 경제 협력의 상징
- 평화 체제 구축 → 종전 선언과 정전 체제 전환 논의의 기반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는 어떤 선언의 내용인가?
“남과 북은 6·15 공동 선언을 적극 실천해 나가기로 하며, 서해평화협력지대를 설치하고 경제협력을 확대하기로 하였다.”
① 7·4 남북 공동 성명 ② 6·15 남북 공동 선언 ③ 10·4 남북 공동 선언 ④ 판문점 선언
➡️ 정답: ③ 10·4 남북 공동 선언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10·4 선언(2007) | 제2차 남북 정상회담에서 발표된 공동 선언 |
6·15 선언 계승 | 2000년의 선언을 실천하고 구체화하는 후속 조치 |
경제 협력 강화 | 개성공단 확대, 철도 연결, 공동 어로구역 설정 등 |
서해평화협력지대 | 군사적 충돌 위험이 큰 지역을 경제 협력 지대로 전환 |
평화체제 모색 |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하기 위한 논의 시작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노무현 대통령: 10·4 선언의 남측 대표, 대화와 실천 강조
- 김정일 위원장: 북측 대표, 경제 협력과 평화 공감대 형성
-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확대: 경제 협력의 상징적 사례
- 선언 이행의 한계: 이후 정권 교체와 북핵 문제 등으로 일부 합의 미이행
✍️ 정리 한 줄 요약
10·4 남북 공동 선언은 실질적인 평화 정착과 경제 협력을 목표로 한 선언으로, 남북 관계를 구체적으로 진전시키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였습니다.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49 - 남북 이산가족 상봉 : 분단의 아픔을 잇는 인도주의 (2) | 2025.04.14 |
---|---|
한능검 기출 48 - 2018년 판문점 선언 : 새로운 평화의 시작 (2) | 2025.04.14 |
한능검 기출 사료 46 - 6·15 남북 공동 선언 : 화해와 협력의 이정표 (2) | 2025.04.14 |
한능검 기출 사료 45 - 남북한 대립에서 협력으로 (2) | 2025.04.13 |
한능검 기출 사료 43 - 정치 발전, 헌법과 민주주의의 정착 (2)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