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62 - 삼정의 문란 : 조선 후기 민생 위기의 시작

J.J.(제이제이) 2025. 4. 16. 11:22
반응형

조선 후기 백성들의 삶을 고통스럽게 만든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삼정의 문란’이었습니다. 전세, 군역, 환곡의 운영이 부패하면서 조세 부담이 폭등했고, 농민 봉기와 민란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삼정의 문란을 다룬 대표 기출 사료를 중심으로, 그 내용과 역사적 의의를 살펴봅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62

삼정의 문란 – 조선 후기 민생 위기의 시작

 

 

📜 기출 사료 발췌

“전정은 포백으로 책정하고, 군정은 납부한 자 외에도 다시 군포를 걷으며, 환곡은 탐관오리의 사리사욕으로 백성의 삶을 위협하고 있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조선 후기 삼정(三政)의 문란을 고발하는 현실 기록입니다.
삼정이란 조선 시대 국가 운영의 세 가지 주요 제도로,

  • 전정(田政): 토지세
  • 군정(軍政): 군역세(군포)
  • 환곡(還穀): 빈민 구휼용 곡물 대여 제도
    를 의미합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 제도들은 부패한 관리와 아전들의 수탈 수단이 되었고,
농민의 삶은 극도로 피폐해졌습니다.
이로 인해 홍경래의 난(1811), 임술농민봉기(1862) 등의 대규모 민란이 발생하게 되죠.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에서 문제 삼고 있는 조선 후기의 상황은?
“전정은 포백으로 책정하고, 군정은 납부한 자 외에도 다시 군포를 걷는다...”
① 조선 전기 군역 개편
② 삼정의 문란
③ 환국 정치의 폐단
④ 대동법 시행
➡️ 정답: ② 삼정의 문란


💡 확장 개념 정리

구분 내용 결과

전정(田政) 실제 경작지보다 과다하게 세금 부과 이중·삼중 과세, 탈농 유도
군정(軍政) 병역 대신 군포 납부 → 면제자도 부담 군포 이중 징수, 고리대 지불
환곡(還穀) 굶주린 백성에게 곡물 빌려줌 고리로 되갚게 해 백성 파탄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임술농민봉기(1862) → 전국적으로 확산된 민중 저항
  • 삼정이정청 설치 → 고종 때 삼정 개혁 시도, 성과 미미
  • 세도 정치기 → 안동 김씨 중심의 정치 부패와 민생 악화
  • 민란의 전조 → 동학농민운동으로 이어지는 사회불안의 씨앗

 

✍️ 정리 한 줄 요약

삼정의 문란은 조선 후기 농민 생활을 파탄시킨 핵심 요인이며, 민란과 농민운동의 직접적인 배경이 되었습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