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명종 대에는 을사사화로 사림이 다시 탄압받았지만, 이후 이황·이이 등 학자들을 중심으로 정치에 복귀하며 세력을 키워갔습니다. 사림 내부의 성향 차이는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되어, 조선 붕당 정치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43강
명종 대 사림의 재등장과 동인·서인의 분화
📌 목차
- 명종 대 정치 상황과 을사사화
- 사림의 정치 복귀와 성장
- 동인과 서인의 분화 배경
- 붕당 정치의 태동
-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1. 명종 대 정치 상황과 을사사화
- 명종(재위 1545~1567) 즉위 직후,
외척 세력 간 권력 투쟁으로 을사사화(1545) 발생 - 윤임 vs 윤원형 → 윤원형이 승리하며
사림 세력이 다시 대거 숙청당함 - 그러나 이후 일부 사림의 정치 복귀가 시작됨
📌 사림은 꾸준히 타격을 입었지만, 사상과 인물 기반은 유지됨
2. 사림의 정치 복귀와 성장
- 이황, 이이, 조식, 서경덕 등 학자들이 활약
- 성리학적 학문과 윤리를 바탕으로
지방에서 기반을 다진 사림들이 중앙으로 진출 - 사화 이후의 사림은 보다 실용적이고 현실 지향적인 면모를 띔
📌 사림은 학문 + 정치 세력화를 함께 이뤄가며 영향력을 확대
3. 동인과 서인의 분화 배경
구분 대표 인물 성향
동인 | 이황, 조식 | 원칙적 성리학, 급진 개혁 지향 |
서인 | 이이, 성혼 | 실용적 성리학, 온건 개혁 추구 |
- 초기에는 학문적 차이 →
후에는 정치적 입장과 현실 대응 방식의 차이로 분화 - 명종 말~선조 초, 사림 내부의 의견 차이로 붕당 형성
📌 조선 후기를 이끌 붕당 정치의 출발점
4. 붕당 정치의 태동
- 선조 대에 붕당 체제 본격화
- 동인·서인은 각각 인물, 지역, 학파, 정치 노선이 다름
- 이후 붕당 정치가 조선 정치의 기본 구조로 자리잡음
📌 사림의 분화는 정치적 다양성과 논쟁을 제도화하는 계기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을사사화(1545): 외척 간 권력투쟁, 윤원형의 승리
- 사림의 재등장: 이황, 이이, 조식 등
- 동인 vs 서인: 성향과 인물 차이
- 붕당 정치의 시작점은 사림 내부 분화
🧠 복습 퀴즈
- 을사사화의 원인과 결과는 무엇인가요?
- 사림이 정치에 다시 복귀할 수 있었던 배경은?
- 동인과 서인은 어떤 차이로 나뉘게 되었나요?
- 붕당 정치가 조선 정치에 미친 영향은?
▶️ 다음 강 예고
📘 44강 – 선조와 임진왜란의 발발
- 붕당 정치와 국방 약화
- 왜란의 배경과 전개
- 조선의 위기와 극복 노력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명종 #사림정치 #을사사화 #동인서인 #붕당정치 #이황 #이이 #한국사기출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시대별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45강 - 임진왜란의 전개와 의병·수군의 활약 (0) | 2025.04.04 |
---|---|
한능검 44강 -선조와 임진왜란의 발발 (0) | 2025.04.04 |
한능검 42강 - 중종의 중도 정치와 조광조의 개혁 (0) | 2025.04.04 |
한능검 41강 - 연산군의 폭정과 중종반정 (0) | 2025.04.04 |
한능검 40강 - 성종의 유교 정치 완성과 경국대전 시행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