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시대별 요약

한능검 43강- 사림의 재등장과 동인·서인의 분화

J.J.(제이제이) 2025. 4. 4. 23:00
반응형

명종 대에는 을사사화로 사림이 다시 탄압받았지만, 이후 이황·이이 등 학자들을 중심으로 정치에 복귀하며 세력을 키워갔습니다. 사림 내부의 성향 차이는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되어, 조선 붕당 정치의 출발점이 되었습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43강

명종 대 사림의 재등장과 동인·서인의 분화


📌 목차

  1. 명종 대 정치 상황과 을사사화
  2. 사림의 정치 복귀와 성장
  3. 동인과 서인의 분화 배경
  4. 붕당 정치의 태동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6. 다음 강 예고

1. 명종 대 정치 상황과 을사사화

  • 명종(재위 1545~1567) 즉위 직후,
    외척 세력 간 권력 투쟁으로 을사사화(1545) 발생
  • 윤임 vs 윤원형 → 윤원형이 승리하며
    사림 세력이 다시 대거 숙청당함
  • 그러나 이후 일부 사림의 정치 복귀가 시작됨

📌 사림은 꾸준히 타격을 입었지만, 사상과 인물 기반은 유지됨


2. 사림의 정치 복귀와 성장

  • 이황, 이이, 조식, 서경덕 등 학자들이 활약
  • 성리학적 학문과 윤리를 바탕으로
    지방에서 기반을 다진 사림들이 중앙으로 진출
  • 사화 이후의 사림은 보다 실용적이고 현실 지향적인 면모를 띔

📌 사림은 학문 + 정치 세력화를 함께 이뤄가며 영향력을 확대


3. 동인과 서인의 분화 배경

구분 대표 인물 성향

동인 이황, 조식 원칙적 성리학, 급진 개혁 지향
서인 이이, 성혼 실용적 성리학, 온건 개혁 추구
  • 초기에는 학문적 차이 →
    후에는 정치적 입장현실 대응 방식의 차이로 분화
  • 명종 말~선조 초, 사림 내부의 의견 차이로 붕당 형성

📌 조선 후기를 이끌 붕당 정치의 출발점


4. 붕당 정치의 태동

  • 선조 대에 붕당 체제 본격화
  • 동인·서인은 각각 인물, 지역, 학파, 정치 노선이 다름
  • 이후 붕당 정치가 조선 정치의 기본 구조로 자리잡음

📌 사림의 분화는 정치적 다양성과 논쟁을 제도화하는 계기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을사사화(1545): 외척 간 권력투쟁, 윤원형의 승리
  • 사림의 재등장: 이황, 이이, 조식 등
  • 동인 vs 서인: 성향과 인물 차이
  • 붕당 정치의 시작점은 사림 내부 분화

🧠 복습 퀴즈

  1. 을사사화의 원인과 결과는 무엇인가요?
  2. 사림이 정치에 다시 복귀할 수 있었던 배경은?
  3. 동인과 서인은 어떤 차이로 나뉘게 되었나요?
  4. 붕당 정치가 조선 정치에 미친 영향은?

▶️ 다음 강 예고

📘 44강 – 선조와 임진왜란의 발발

  • 붕당 정치와 국방 약화
  • 왜란의 배경과 전개
  • 조선의 위기와 극복 노력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명종 #사림정치 #을사사화 #동인서인 #붕당정치 #이황 #이이 #한국사기출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