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세기 초, 조선은 러시아와 일본의 세력 다툼 속에 놓이게 됩니다.
**러일전쟁(1904~1905)**에서 일본이 승리하면서 조선에 대한 일본의 영향력은 급속히 강화되었고,
이후
통감부 설치, 을사늑약 체결 등으로 조선은 국권을 상실하는 길로 접어들게 됩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61강
러일전쟁과 국권 침탈의 시작
📌 목차
- 러일전쟁의 배경과 경과
- 일본의 조선 침투 강화
- 제1차 한일협약과 통감부 설치
- 국권 침탈의 본격화
-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1. 러일전쟁의 배경과 경과
배경 내용
청일전쟁 후 러시아 영향력 확대 | 만주, 조선에서 러시아 세력 강화 |
일본의 위기감 | 대륙 진출 위해 조선을 전략 거점으로 삼음 |
1904년 전쟁 발발 | 일본의 선제공격으로 러일전쟁 시작 |
🔹 결과: 일본 승리 → 포츠머스 조약(1905) 통해
러시아는 조선에서 손을 뗌
📌 러일전쟁은 조선의 운명을 외세가 결정한 대표 사례
2. 일본의 조선 침투 강화
- 전쟁 중 일본은 한일의정서(1904) 체결 →
군사·정치 활동 자유 확보 - 대한제국 정부 내 일본 고문 파견
→ 외교·재정 고문: 스티븐스, 메가타
📌 일본은 전쟁 중 조선 내정에 깊숙이 개입
3. 제1차 한일협약과 통감부 설치
- 제1차 한일협약(1904): 일본 고문 제도 법제화
- 을사늑약(1905):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 경복궁 내 통감부 설치
📌 을사늑약은 조선의 사실상 외교권 상실,
국권 침탈의 핵심 계기
4. 국권 침탈의 본격화
단계 내용
1904 한일의정서 | 일본의 군사활동 자유화 |
1905 을사늑약 |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
이후 2차 협약(1907) | 행정권까지 장악 |
병합조약(1910) | 완전한 식민지화 |
📌 이 시기는 조선의 주권이 체계적으로 박탈된 시기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러일전쟁(1904~1905): 조선에서 전개된 열강의 충돌
- 한일의정서: 일본의 전쟁 수행 명분
- 을사늑약(1905): 외교권 박탈, 통감부 설치
- 이토 히로부미: 초대 통감 → 조선 식민 통치 준비
🧠 복습 퀴즈
- 러일전쟁이 조선의 국권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 을사늑약이 체결된 결과는 어떤 것이 있었나요?
- 통감부 설치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 조선의 외교권이 박탈된 구체적인 조약은?
▶️ 다음 강 예고
📘 62강 – 을사늑약과 국권 수호 운동
- 외교권 상실과 민중의 저항
- 을사오적과 이토 히로부미
- 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의 전개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러일전쟁 #한일의정서 #을사늑약 #이토히로부미 #통감부 #조선외교권상실 #국권침탈 #한국사기출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시대별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63강 - 국권 피탈과 일제 강점기의 시작 (0) | 2025.04.07 |
---|---|
한능검 62강- 을사늑약과 국권 수호 운동 (0) | 2025.04.07 |
한능검 60강 - 대한제국 수립과 광무개혁 (14) | 2025.04.07 |
한능검 59강 -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독립협회의 개혁 운동 (0) | 2025.04.07 |
한능검 58강 -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