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세상 읽기(시사 정보)/📺 드라마·영화·예능

'폭싹 속았수다' 속 주인공의 詩 10편 모음

J.J.(제이제이) 2025. 4. 2. 14:43
반응형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속 주인공들의 감정을 담은 시 10편을 모아 소개합니다. 대사보다 더 깊은 울림을 느껴보세요.

 

제주 감성, 애순이의 시집

–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 속 주인공의 시 모음

목차

  1. 들어가며 – 시로 말한 애순의 인생
  2. 애순의 시 10편
    • 1편: 엄마의 부엌
    • 2편: 숨비소리
    • 3편: 나의 섬
    • 4편: 검은치마
    • 5편: 제주바당
    • 6편: 오름 위에서
    • 7편: 감귤꽃
    • 8편: 너를 기다리는 비
    • 9편: 수국 아래
    • 10편: 고맙수다
  3. 애순의 시가 남긴 여운
  4. 마무리하며 –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시였다

1. 들어가며

드라마 *‘폭싹 속았수다’*는 1950년대 제주를 살아낸 여성 애순이의 인생을 시처럼 담아낸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진짜로, 그녀는 자신의 삶을 ‘시’로 써 내려갑니다.
그녀의 시는 단순한 문장이 아니라, 시대를 건너뛴 감정의 기록이자 제주의 정서입니다.
이제 그 시들을 한 편 한 편 들여다보려 합니다.


2. 애순의 시 10편

🍚 1. 엄마의 부엌

등장 상황: 어린 애순이가 엄마를 잃고 난 후, 엄마가 남긴 부엌에서 슬픔과 그리움을 안고 처음으로 시를 쓰는 장면.

 

엄마의 부엌
연탄불 위
조용히 끓는 국물처럼

엄마의 숨결이
방 안 가득 피어납니다

나는 밥을 지을 줄 몰라서
그저 눈물만 짓습니다


🌊 2. 숨비소리

등장 상황: 해녀가 된 애순이가 물질을 하며 처음으로 바다와 소통하게 되는 순간.

숨비소리
내 숨이
바다 아래 묻히고

허공으로 뿜어 올린
그 소리

내 안에 남은 것들이
터져 나왔습니다

 


🏝 3. 나의 섬

등장 상황: 외지인과의 갈등 속에서, 애순이가 ‘제주’라는 공간에 대한 애정을 시로 표현함.

 

나의 섬
이 섬은
누구의 것도 아니오

돌담 위 핀 꽃
바당에 젖은 발자국

그 모든 것이
나의 기억, 나의 섬


🖤 4. 검은치마

등장 상황: 첫사랑을 떠나보낸 날, 애순이가 상복 같은 검은치마를 입고 쓴 시.

검은치마
치마 끝에 묻은 흙처럼
마음이 무겁소

그대는 가고
나는 남았소

바람이 불 때마다
나는 그대를 걷습니다



🌊 5. 제주바당

등장 상황: 세월이 흐른 후, 애순이가 중년이 되어 다시 바다를 바라보며 자신을 되돌아보는 장면.

 

제주바당
큰 파도도
작은 파도도

결국은 해안에 닿습니다

그대도 나도
부서지며 나아갑니다


🏞 6. 오름 위에서

등장 상황: 애순이 오름에 올라, 내려다본 마을을 바라보며 고요한 마음으로 적은 시.

 

오름 위에서
높은 곳에 오르니

마음이 작아졌습니다

작아서
더 많이 보였습니다


🌸 7. 감귤꽃

등장 상황: 고단한 하루 끝에 집 앞 감귤나무 아래 앉아 적은 시.

 

감귤꽃
작고 하얗게 피어나서

바람에 웃습니다

나는 그 웃음을
저녁 반찬 삼아

하루를 넘깁니다


🌧 8. 너를 기다리는 비

등장 상황: 오래 전 헤어진 누군가를 다시 기다리는 장면.

너를 기다리는 비
장마가 아니어도

나는 자주 젖습니다

그대 이름을 부르면

하늘이 먼저 울어버립니다

 


💠 9. 수국 아래

등장 상황: 죽음을 준비하는 노년의 애순이가 마지막으로 기억을 돌아보며 쓴 시.

 

수국 아래
사람도 꽃처럼 피고

때가 되면 져야지요

그래도 이 향은
남아있을까요?

그대가 한번쯤
생각해준다면


🙏 10. 고맙수다

등장 상황: 애순이 삶을 돌아보며 마지막으로 전하는 인사 같은 시.

고맙수다
욕도 했고
사랑도 했고

미워도 하고
안고도 살았수다

그 모든 순간에
당신이 있었수다

고맙수다


3. 애순의 시가 남긴 여운

애순의 시는 제주 방언처럼 푸근하고, 해녀처럼 강인하며, 어머니처럼 따뜻합니다.
그녀의 시를 통해 우리는 말하지 못한 우리의 이야기까지 들여다보게 됩니다.


4. 마무리하며 – 우리는 모두 누군가의 시였다

한 여인의 삶이, 그 삶 속의 시들이
어쩌면 우리가 살아내야 할 시가 아닐까요?
오늘, 당신의 하루도 시가 되기를 바라며
애순이의 말처럼, "고맙수다."


#해시태그

# 폭싹속았수다 #애순이의시 #제주드라마 #드라마명대사 #감성시 #제주여자 #해녀의삶 #시처럼사는법 #고맙수다 #드라마추천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