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시대별 요약

한능검 1강 : 선사 시대의 흐름과 특징

J.J.(제이제이) 2025. 4. 2. 20:04
반응형

구석기부터 청동기 시대까지 선사 시대의 생활 모습과 사회 변화, 농경의 시작과 고대 국가 형성의 기초를 정리합니다.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강의록 1강

선사 시대의 흐름과 특징


📌 목차

  1. 선사 시대란 무엇인가
  2. 구석기 시대의 삶과 문화
  3. 신석기 시대의 전환점
  4. 선사 시대의 대표 유적지와 유물
  5. 고득점을 위한 핵심 정리
  6. 복습 퀴즈
  7. 다음 강 예고

1. 선사 시대란 무엇인가

‘선사(先史)’란 문자가 나타나기 전, 기록된 역사가 없는 시대를 의미합니다.
이 시기의 인류는 글 대신 도구와 유물, 거주지의 흔적으로 삶을 남겼고, 우리는 이를 바탕으로 역사를 유추합니다.


2. 구석기 시대의 삶과 문화

🧬 생활 방식

구석기 시대(약 70만 년 전 ~ 기원전 8,000년)는 이동 생활이 중심이었습니다.
인류는 동굴이나 막집에서 생활하며, 수렵과 채집을 통해 식량을 얻었습니다.
이 시기는 공동체적 사냥, 불의 사용, 원시 언어의 시작과도 연결됩니다.

🪨 도구 사용

대표 도구는 자연석을 깨서 만든 뗀석기입니다.

  • 주먹도끼: 여러 용도(사냥, 식물 채집)에 쓰임
  • 찍개, 긁개: 식물 껍질 제거, 동물 가죽 손질
  • 슴베찌르개: 날렵한 창 끝 도구, 후기 구석기에 등장

📍 대표 유적지

  • 연천 전곡리 유적: 아슐리안형 주먹도끼 발견지
  • 공주 석장리, 단양 도담리 등도 주요 구석기 유적

3. 신석기 시대의 전환점

🌾 생활 방식 변화

신석기 시대(기원전 8000년 ~ 기원전 1500년경)는 정착 생활의 시작입니다.
강가나 해안가에 움집을 짓고, 조·피 등 잡곡 농사가축 사육을 하며 식량을 자급하기 시작했습니다.

🎨 신앙과 예술

  • 애니미즘: 해, 달, 물 등 자연 숭배
  • 토테미즘: 부족마다 특정 동식물 숭배
  • 샤머니즘: 무당(샤먼)을 통한 주술 행위

🍲 빗살무늬토기

빗살무늬토기

 

이 시기의 상징인 빗살무늬 토기는 식량 저장과 의식용으로 활용되었습니다.
무늬에는 단순한 장식 외에도 자연 숭배적 의미가 담겼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 대표 유적지

서울 암사동 유

  • 서울 암사동 유적: 대표 신석기 정착지
  • 양양 오산리, 부산 동삼동도 중요한 유적지

4. 선사 시대의 대표 유적지와 유물

시대 주요 도구 대표 유물 대표 유적지

구석기 뗀석기 주먹도끼, 찍개 연천 전곡리, 공주 석장리
신석기 간석기 + 뼈도구 빗살무늬 토기, 가락바퀴 서울 암사동, 동삼동

5. 고득점을 위한 핵심 정리

  • 구석기는 뗀석기, 이동생활, 동굴 or 막집 거주
  • 신석기는 간석기, 정착생활, 농경과 목축 시작
  • 토기의 유무가 시대 구분 핵심
  • 빗살무늬토기 = 신석기
  • 전곡리 = 구석기, 암사동 = 신석기

항목/ 구석기 시대 /신석기 시대

생활 방식 수렵·채집, 이동생활 농경·목축, 정착생활
주거 동굴, 막집 움집
도구 뗀석기 간석기, 가락바퀴, 뼈바늘
토기 없음 빗살무늬 토기
신앙 없음 (자연 대응 수준) 애니미즘, 토테미즘, 샤머니즘

6. 복습 퀴즈

Q1. 뗀석기를 사용하고,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했던 시기는 어느 시대인가요?
Q2. 신석기 시대 사람들이 식량 저장에 사용한 대표적인 토기의 이름은?
Q3. 서울 암사동 유적지는 어느 시대의 유적일까요?


7. 다음 강 예고

📘 [2강] 청동기 시대와 고조선의 성립

  • 계급의 등장, 비파형 동검, 고인돌의 의미
  • 단군신화 속 상징의 해석
  • 시험에 자주 출제되는 ‘고조선 8조법’의 핵심 내용!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선사시대 #구석기 #신석기 #암사동유적 #빗살무늬토기 #한국사강의 #역사블로그 #한국사기출 #전곡리유적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