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구려·백제·신라의 건국 배경과 초기 성장 과정을 통해 삼국의 성립과 고대 국가 체제 형성의 기초를 정리합니다.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고급 강의록 4강
고조선의 발전과 위만 조선의 멸망
📌 목차
- 고조선의 발전 과정
- 위만의 등장과 정복 활동
- 한(漢)과의 갈등과 전쟁
- 고조선의 멸망과 한사군 설치
- 고조선 멸망의 의의
- 정리표 및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1. 고조선의 발전 과정
⛺ 초기 고조선
- 단군 신화를 바탕으로 기원전 2333년에 건국되었다고 전해짐
- 비파형 동검 문화와 고인돌을 통해 중심지가 요령 지방이었음을 알 수 있음
- 점차 세력을 키우며 청동기 문화권의 중심 세력으로 성장
🧱 사회 구조
- 법률: 8조법(일부만 전해짐) → 사유재산, 생명 보호 강조
- 정치: 제정일치 사회 → 점차 군장국가 → 초기 국가 체제로 발전
2. 위만의 등장과 정복 활동
👤 위만의 등장
- 기원전 194년, 중국 연나라 출신의 위만이 고조선으로 망명
- 당시 고조선 왕 준왕은 위만을 서쪽 변경 수비대장으로 임명
🏴 위만의 쿠데타
- 위만은 세력을 키워 내부 쿠데타로 준왕을 몰아내고 왕이 됨
- 즉위 후 중국과의 무역 통제, 남한 지역까지 세력 확장
📈 고조선의 전성기
- 철기 문화 본격 수용, 경제·군사력 급성장
- 진국(삼한), 한(漢)과의 무역 주도
- 낙랑·진번·임둔 등의 지역까지 영향력 확대
3. 한(漢)과의 갈등과 전쟁
⚔️ 무역 갈등 → 전쟁 발발
- 위만 조선이 한(漢)의 남방 무역을 차단하자, 무제는 이를 빌미로 군사 공격 시작
- 기원전 109년, 한 무제가 군대 파견
🛡️ 고조선의 저항
- 우거왕(위만의 손자)은 장기간 항전
- 약 1년간 한과의 전투 지속 → 결국 기원전 108년, 왕검성 함락
4. 고조선의 멸망과 한사군 설치
🏛️ 고조선 멸망
- 기원전 108년, 고조선 멸망
- 한(漢)은 고조선의 옛 영토에 ‘한사군’ 설치
🗺️ 한사군(4군)의 구성
군 이름 위치 역할
낙랑군 | 평양 일대 | 중심 행정기구 |
진번군 | 황해도 일대 | 군사기지 역할 |
임둔군 | 함경도 일대 | 북방 경계 수비 |
현도군 | 중국 요동 반도 | 본국 연결 요충지 |
📸
5. 고조선 멸망의 의의
- 철기 문화의 전파 확대
- 고조선 멸망 이후 한반도에 본격적 중국 지배 체제 도입
- 낙랑군은 이후 삼국 초기에까지 영향을 미침
- ‘우리 역사 최초의 국가’ 고조선의 실체 확립, 후속 국가 성립의 토대 마련
6. 핵심 정리표 & 기출 포인트
구분 내용 요약
건국 시기 | 기원전 2333년 (단군 신화) |
중심 유물 | 비파형 동검, 고인돌 |
위만의 등장 | 연나라 출신, 망명 → 쿠데타로 왕이 됨 |
한과의 전쟁 | 무역 갈등 → 한무제 침공 |
고조선 멸망 | 기원전 108년, 왕검성 함락 |
한사군 설치 | 낙랑·진번·임둔·현도 4군 |
🎯 기출 포인트
- 위만의 정복 활동과 경제 정책
- 고조선 멸망 전후의 연도 흐름
- 한사군 위치, 역할, 이름 연결 문제
7.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Q1. 위만은 어떤 인물이었으며, 어떻게 왕위에 올랐나요?
Q2. 고조선이 멸망한 해와 마지막 왕의 이름은?
Q3. 한사군은 어떤 지역에 설치되었으며, 각각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 다음 강 예고
📘 [5강] 초기 국가의 발전 – 부여, 고구려, 삼한의 고대 국가로의 성장
- 부여에서 고구려로 이어지는 국가 체계 변화
- 삼한의 진한 → 신라, 변한 → 가야로의 발전
- 초기 국가의 3단계 발전 모델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고조선 #위만조선 #우거왕 #한사군 #비파형동검 #왕검성 #한국사기출 #역사블로그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시대별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6강 : 고구려·백제·신라의 건국과 성장 (0) | 2025.04.02 |
---|---|
한능검 5강 : 부여, 고구려, 삼한의 성장 (2) | 2025.04.02 |
한능검 3강 : 철기 시대와 여러 나라의 성장 (0) | 2025.04.02 |
한능검 2강 :청동기 시대와 고조선의 성립 (0) | 2025.04.02 |
한능검 1강 : 선사 시대의 흐름과 특징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