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김춘추의 외교와 나당 연합, 김유신의 활약으로 이뤄낸 백제·고구려 정복과 나당 전쟁을 통한 신라의 삼국 통일 과정을 정리합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10강
삼국 통일 전쟁 – 나당 연합과 백제·고구려의 멸망
📌 목차
- 통일 전쟁의 배경
- 나당 동맹의 결성
- 백제 멸망 과정
- 고구려 멸망 과정
- 나당 전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1. 통일 전쟁의 배경
- 삼국 간 항쟁이 지속되며 국력 소모 심화
- 고구려·백제는 점차 수세에 몰림
- 신라는 당나라와 외교 관계 강화 → 강력한 군사 동맹 형성
- 신라는 외교력 + 안정된 내부 체제를 기반으로 통일의 주도권을 노림
2. 나당 동맹의 결성
- 시기: 648년
- 인물: 신라 **김춘추(훗날 무열왕)**가 당 태종에 외교 요청
- 목적: 백제·고구려 견제 + 당은 동북 아시아 영향력 확대 노림
- 신라-당 상호 군사 지원 약속
📌 핵심 포인트:
- 김춘추의 외교력 → 당과 군사 동맹 체결
- 신라는 국제 외교를 통한 힘의 우위 확보
3. 백제의 멸망
📅 시기: 660년
- 주도: 신라 무열왕, 장군 김유신
- 전투: 황산벌 전투 – 계백 장군의 최후
- 당군은 나당 연합 수군으로 백제 수도 사비성 공격
- 백제 의자왕 항복, 백제 멸망
📌 전투 요약
- 계백: 5천 결사대 조직 → 전사
- 김유신: 황산벌 돌파 → 사비성 함락
4. 고구려의 멸망
📅 시기: 668년
- 배경: 연개소문의 사후 내부 분열
- 신라와 당나라가 양면 공격
- 당 장수 이정기, 신라 김인문 등 참가
- 평양성 함락 → 고구려 멸망
📌 중요 포인트:
- 고구려의 내분 + 외적 협공
- 신라 단독이 아닌 나당 연합군의 결과
5. 나당 전쟁과 신라의 통일
⚔️ 갈등의 시작
- 당은 한반도에 직접 지배 구상 → 계림도독부, 웅진도독부 설치
- 신라는 이에 반발, 나당 전쟁 발발 (670~676)
🏹 전쟁 결과
- 매소성 전투, 기벌포 전투 승리 → 당군 철수
- 676년: 신라, 한반도 남부 실질 통일 완수
- 고구려·백제 옛 땅 대부분 수복
📊 기출 대비 핵심 정리
항목 백제 멸망 고구려 멸망 나당 전쟁 신라의 통일
연도 | 660년 | 668년 | 670~676년 | 676년 |
주요 인물 | 김유신, 계백 | 연정토, 김인문 | 문무왕, 이근행 등 | 문무왕 |
핵심 전투 | 황산벌 | 평양성 전투 | 매소성, 기벌포 | - |
결과 | 백제 멸망 | 고구려 멸망 | 당 세력 축출 | 삼국 통일 완성 |
6.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백제·고구려 멸망 연도, 인물, 전투 연결
- 황산벌 = 김유신 vs 계백
- 나당 전쟁 → 676년 통일 완성
- 당나라의 도독부 설치 목적 → 신라와 갈등 원인
🧠 복습 퀴즈
- 김춘추가 당나라에 파견된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 백제 멸망의 결정적 전투와 양측 인물은 누구인가요?
- 나당 전쟁에서 신라가 승리한 전투를 하나 써보세요.
- 신라는 몇 년에 삼국 통일을 완성했나요?
▶️ 다음 강 예고
📘 11강 – 통일 신라의 정치와 사회: 문무왕~성덕왕, 골품제, 집사부 체제
- 중앙집권 심화와 왕권 강화
- 6두품과 집사부의 역할
- 통일 이후 사회 구조의 변화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삼국통일 #백제멸망 #고구려멸망 #황산벌전투 #김유신 #김춘추 #나당전쟁 #매소성 #기벌포 #신라통일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시대별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12강 : 통일 신라 문화 – 불교·건축·학문과 국제 교류 (0) | 2025.04.02 |
---|---|
한능검 11강 : 통일 신라 문무왕에서 성덕왕까지 (0) | 2025.04.02 |
한능검 9강 : 나·제 동맹과 삼국 전쟁 (0) | 2025.04.02 |
한능검 8강 : 고구려·백제·신라의 황금기 (0) | 2025.04.02 |
한능검 7강 : 삼국의 중앙집권 강화 – 율령 반포와 불교 수용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