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무왕의 통일 완수와 신문왕의 중앙 집권 강화, 골품제와 관료제 정비까지 통일 신라 정치·사회 체제를 정리합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11강
통일 신라의 정치와 사회 – 문무왕에서 성덕왕까지
📌 목차
- 통일 신라의 성립과 배경
- 문무왕과 신문왕의 중앙 집권
- 골품제와 관료제 정비
- 지방 행정과 군사 제도
- 신라의 사회 변화
-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1. 통일 신라의 성립과 배경
- 676년, 나당 전쟁 승리 이후 한반도 남부 실질 통일
- 문무왕(재위 661~681): 통일 완수, 화장 후 동해에 수장
- 당과의 세력 다툼 속에서도 독자적인 국가 체제 확립
2. 문무왕과 신문왕의 업적
👑 문무왕
- 나당 전쟁 승리 → 당 세력 축출
- 통일의 상징적 군주
- “화장을 명하고 동해의 용이 되겠다” → 해상 수호 의미
🧭 신문왕 (681~692)
- 중앙 집권 강화의 핵심 인물
- 김흠돌의 난 진압 → 귀족 세력 약화
-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689) → 귀족 경제력 통제
- 국학 설립 (682) → 유학 교육 제도화
- 9주 5소경 설치 → 지방 통제 강화
- 9서당 10정 → 군사 제도 정비
3. 골품제와 관료제 정비
🏷️ 골품제란?
- 신분에 따라 관직·복장·거주·결혼 등 제한
- 왕족은 진골, 고위 귀족은 6두품 이하
- 진골만 왕이 될 수 있었음
🏛️ 관료제
- 중앙 관청 정비: 집사부 중심 체제
- 6두품은 집사부·국학 등에서 핵심 인재로 활약
4. 지방 행정과 군사 제도
🗺️ 지방 제도
- 9주 5소경 체제:
- 9주는 지방 중심 행정 단위
- 5소경은 수도 보완·균형 발전 목적
- 진골 중심의 지배층을 지방에 파견해 통제
⚔️ 군사 제도
- 9서당: 중앙 군대 → 민족 융합 상징 (고구려·백제 유민 포함)
- 10정: 지방 군대 → 각 주에 1정씩 배치
5. 사회 변화
- 통일 이후 **피지배 민족(고·백 유민)**과 융합 정책
- 불교 + 유학 병행 정책
- 국학 설치 → 유교 관료 양성
- 문무 귀족 중심 체제 강화, 그러나 6두품은 실무 중추로 성장
📌 사회 키워드:
- 귀족 독점 체제와 그 내부 균열의 씨앗
- 진골 vs 6두품 구조는 이후 신라 쇠퇴 원인 중 하나
6.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신문왕 업적 → 관료전·녹읍 폐지 / 국학 / 지방제도
- 골품제 구조 → 진골만 왕 / 6두품 한계
- 지방 통제 제도 → 9주 5소경, 10정
- 군사 제도 → 9서당 (중앙), 10정 (지방)
🧠 복습 퀴즈
- 통일을 완수한 신라의 왕은 누구이며, 그의 장례 방식은?
- 신문왕이 귀족 견제를 위해 시행한 경제 정책은?
- 9주 5소경 체제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 골품제에서 왕이 될 수 있는 신분은?
▶️ 다음 강 예고
📘 12강 – 통일 신라의 문화: 불교·건축·학문과 국제 교류
- 석굴암, 불국사, 성덕대왕 신종
- 유학의 발달과 국학의 성장
- 일본, 당나라와의 문화 교류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문무왕 #신문왕 #골품제 #관료전 #9주5소경 #국학 #9서당10정 #통일신라 #한국사기출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시대별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13강 : 통일 신라 정치 체제 변화와 쇠퇴 (0) | 2025.04.02 |
---|---|
한능검 12강 : 통일 신라 문화 – 불교·건축·학문과 국제 교류 (0) | 2025.04.02 |
한능검 10강 : 나당 연합과 백제·고구려의 멸망 (0) | 2025.04.02 |
한능검 9강 : 나·제 동맹과 삼국 전쟁 (0) | 2025.04.02 |
한능검 8강 : 고구려·백제·신라의 황금기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