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일 직후 왕권이 강화된 신라 중대와, 귀족 중심의 분열과 사회 혼란이 깊어진 하대를 비교하며 신라 쇠퇴 과정을 정리합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13강
통일 신라 중대와 하대 – 정치 체제 변화와 신라의 쇠퇴
📌 목차
- 통일 신라의 중대와 하대 구분
- 중대(7세기 후반~8세기 후반): 왕권 강화
- 하대(8세기 후반~10세기): 귀족 중심, 왕권 약화
- 골품제 사회의 한계
- 지방 세력의 성장과 사회 변화
-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1. 중대와 하대의 구분
구분 시기 특징
중대 | 문무왕 ~ 혜공왕 | 왕권 강화, 중앙 집권 완성 |
하대 | 선덕왕 이후 ~ 경순왕 | 왕권 약화, 귀족·호족 성장, 사회 불안 |
📌 핵심: 중대는 통일 직후 안정기 / 하대는 점차 분열과 쇠퇴로 진행
2. 중대: 왕권 강화의 시대
주요 왕
- 문무왕: 통일 완수
- 신문왕: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국학 설립
- 성덕왕: 정전 지급 → 농민 안정
- 경덕왕: 한화 정책(중국식 명칭 도입), 불국사 중창
- 혜공왕: 96각간의 난(780) → 왕권 쇠퇴 시작
3. 하대: 귀족 중심 통치와 왕권 약화
특징
-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 격화
- 상대등 → 시중 권한 강화
- 왕권은 형식적, 실권은 귀족 가문에게
- 녹읍 부활(757) → 귀족 경제력 재강화
주요 사건
- 혜공왕 피살 후 혼란
- 원성왕, 헌덕왕, 흥덕왕 등은 일부 개혁 시도
- 진골 귀족 중심의 보수적 통치 유지
4. 골품제 사회의 한계
- 진골만 왕 가능 → 왕위 세습제도 불안정
- 6두품은 실무 능력 뛰어나지만, 정치 진출 제한
- 귀족 간 왕위 쟁탈전 → 왕권 약화의 직접적 원인
- 골품제는 신분 고착 사회를 만들며 사회 유동성 저해
5. 지방 세력의 성장과 사회 변화
🏯 호족의 등장
- 지방 군사력과 경제력 장악
- 향·부곡·소 등 특수 행정구역 확대
- 신라 중앙 통제가 약해지고, 지역 분권 강화
🌱 6두품의 역할 변화
- 국학·집사부 중심의 실무 담당
- 불교 대신 유학적 개혁 사상 추구
- 후삼국 시대 신진 세력으로 연결됨 (후백제·고려로 이어짐)
6.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관료전 → 신문왕 / 정전 → 성덕왕
- 혜공왕 시기 96각간의 난 → 중대 끝, 하대 시작
- 녹읍 폐지(신문왕) ↔ 녹읍 부활(경덕왕 시기)
- 골품제의 폐쇄성 + 6두품의 한계 → 사회 불만 축적
- 하대의 호족 + 6두품 + 불교 쇠퇴 + 유학 강화 흐름 연결
🧠 복습 퀴즈
- 통일 신라의 중대와 하대를 구분 짓는 사건은 무엇인가요?
- 성덕왕과 경덕왕이 각각 시행한 정책은?
- 골품제 사회에서 진출이 제한되었던 신분층은?
- 통일 신라 하대에 등장한 지방 세력의 명칭은?
▶️ 다음 강 예고
📘 14강 – 발해의 건국과 발전: 고구려 계승 국가의 등장과 문화
- 대조영의 발해 건국
- 문왕의 문화 개방 정책
- 발해의 고구려 계승 주장과 당과의 외교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통일신라 #신문왕 #경덕왕 #골품제 #6두품 #96각간의난 #호족세력 #한국사기출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시대별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15강 : 발해의 사회와 문화 – 유물과 외교 (0) | 2025.04.02 |
---|---|
한능검 14강 : 발해 건국과 발전 - 고구려 계승국 (0) | 2025.04.02 |
한능검 12강 : 통일 신라 문화 – 불교·건축·학문과 국제 교류 (0) | 2025.04.02 |
한능검 11강 : 통일 신라 문무왕에서 성덕왕까지 (0) | 2025.04.02 |
한능검 10강 : 나당 연합과 백제·고구려의 멸망 (0) | 2025.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