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시대별 요약

한능검 13강 : 통일 신라 정치 체제 변화와 쇠퇴

J.J.(제이제이) 2025. 4. 2. 21:21
반응형

통일 직후 왕권이 강화된 신라 중대와, 귀족 중심의 분열과 사회 혼란이 깊어진 하대를 비교하며 신라 쇠퇴 과정을 정리합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13강

통일 신라 중대와 하대 – 정치 체제 변화와 신라의 쇠퇴


📌 목차

  1. 통일 신라의 중대와 하대 구분
  2. 중대(7세기 후반~8세기 후반): 왕권 강화
  3. 하대(8세기 후반~10세기): 귀족 중심, 왕권 약화
  4. 골품제 사회의 한계
  5. 지방 세력의 성장과 사회 변화
  6.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7. 다음 강 예고

1. 중대와 하대의 구분

구분 시기 특징

중대 문무왕 ~ 혜공왕 왕권 강화, 중앙 집권 완성
하대 선덕왕 이후 ~ 경순왕 왕권 약화, 귀족·호족 성장, 사회 불안

📌 핵심: 중대는 통일 직후 안정기 / 하대는 점차 분열과 쇠퇴로 진행


2. 중대: 왕권 강화의 시대

주요 왕

  • 문무왕: 통일 완수
  • 신문왕: 관료전 지급, 녹읍 폐지, 국학 설립
  • 성덕왕: 정전 지급 → 농민 안정
  • 경덕왕: 한화 정책(중국식 명칭 도입), 불국사 중창
  • 혜공왕: 96각간의 난(780) → 왕권 쇠퇴 시작

3. 하대: 귀족 중심 통치와 왕권 약화

특징

  • 귀족들의 왕위 쟁탈전 격화
  • 상대등 → 시중 권한 강화
  • 왕권은 형식적, 실권은 귀족 가문에게
  • 녹읍 부활(757) → 귀족 경제력 재강화

주요 사건

  • 혜공왕 피살 후 혼란
  • 원성왕, 헌덕왕, 흥덕왕 등은 일부 개혁 시도
  • 진골 귀족 중심의 보수적 통치 유지

4. 골품제 사회의 한계

  • 진골만 왕 가능 → 왕위 세습제도 불안정
  • 6두품은 실무 능력 뛰어나지만, 정치 진출 제한
  • 귀족 간 왕위 쟁탈전 → 왕권 약화의 직접적 원인
  • 골품제는 신분 고착 사회를 만들며 사회 유동성 저해

5. 지방 세력의 성장과 사회 변화

🏯 호족의 등장

  • 지방 군사력과 경제력 장악
  • 향·부곡·소 등 특수 행정구역 확대
  • 신라 중앙 통제가 약해지고, 지역 분권 강화

🌱 6두품의 역할 변화

  • 국학·집사부 중심의 실무 담당
  • 불교 대신 유학적 개혁 사상 추구
  • 후삼국 시대 신진 세력으로 연결됨 (후백제·고려로 이어짐)

6.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관료전 → 신문왕 / 정전 → 성덕왕
  • 혜공왕 시기 96각간의 난 → 중대 끝, 하대 시작
  • 녹읍 폐지(신문왕) ↔ 녹읍 부활(경덕왕 시기)
  • 골품제의 폐쇄성 + 6두품의 한계 → 사회 불만 축적
  • 하대의 호족 + 6두품 + 불교 쇠퇴 + 유학 강화 흐름 연결

🧠 복습 퀴즈

  1. 통일 신라의 중대와 하대를 구분 짓는 사건은 무엇인가요?
  2. 성덕왕과 경덕왕이 각각 시행한 정책은?
  3. 골품제 사회에서 진출이 제한되었던 신분층은?
  4. 통일 신라 하대에 등장한 지방 세력의 명칭은?

▶️ 다음 강 예고

📘 14강 – 발해의 건국과 발전: 고구려 계승 국가의 등장과 문화

  • 대조영의 발해 건국
  • 문왕의 문화 개방 정책
  • 발해의 고구려 계승 주장과 당과의 외교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통일신라 #신문왕 #경덕왕 #골품제 #6두품 #96각간의난 #호족세력 #한국사기출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