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시대별 요약

한능검 15강 : 발해의 사회와 문화 – 유물과 외교

J.J.(제이제이) 2025. 4. 2. 21:24

고구려를 계승한 발해의 사회 구성과 유교·불교 문화, 정효공주 묘를 통해 본 문화 융합과 대외 교류를 정리합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15강

발해의 사회와 문화 – 유물과 외교로 본 고구려 계승국


📌 목차

  1. 발해의 사회 구성
  2. 유교·불교 중심의 문화
  3. 유물과 유적 – 정효공주 묘
  4. 발해의 대외 교류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6. 다음 강 예고

1. 발해의 사회 구성

  • 지배층: 고구려계 출신
  • 피지배층: 말갈계 주민들
  • 귀족 중심의 체제이나 점차 융합
  • 고구려 전통 + 말갈 문화 융합의 복합 사회

📌 지방은 말갈인 중심으로 독자적 문화 유지, 중앙은 고구려 문화 주도


2. 유교와 불교의 조화

🧘 불교

  • 문왕 이후 국교 수준으로 장려
  • 사찰·탑·불상 활발
  • 정혜·정효공주묘 벽화, 불상에서 불교 예술 발달 확인 가능

📖 유교

  • 당나라 제도 수용 → 3성 6부제, 문신제도
  • 문과적 문화 제도 확립, 유교적 명분 강조
  • 왕실에서 학문·제도 정비 추진

3. 대표 유물·유적 – 정효공주 묘

🪦 정효공주 묘 (중국 길림성)

  • 문왕의 딸 정효공주 무덤
  • 벽돌무덤 + 벽화 + 묘지명 남아 있음
  • 묘지명에 “고려국왕의 딸” → 고구려 계승 국가 입증
  • 구조: 당식 벽돌무덤 + 온돌 장치
  • 문화: 고구려·당나라·말갈 문화 융합

📌 정효공주 묘 = 발해사 연구의 핵심 자료


4. 발해의 대외 교류

🏯 당나라

  • 사신 파견 빈번 → 교류와 견제 병행
  • 당과의 문화 교류를 통해 중앙 집권 제도 정비

🗾 일본

  • 공식 사절단 수십 차례 파견
  • 일본에선 발해를 “해동성국”으로 부름
  • 서적, 문물, 인재 교류 활발

🇰🇷 신라

  • 경쟁 관계, 무력 충돌은 없었지만 긴장 지속
  • 서로 견제하며 남북국 체제 형성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정효공주 묘 = 고구려 계승 + 온돌 구조 + 묘지명
  • 발해의 지배층/피지배층 구분
  • 발해 문화 = 고구려+말갈+당나라 융합
  • “해동성국”은 어느 나라가 부른 표현인가? → 일본
  • 유물·유적 문제로 정효공주 묘 자주 출제됨

🧠 복습 퀴즈

  1. 정효공주 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고구려 계승 근거는 무엇인가요?
  2. 발해의 지배층과 피지배층은 각각 누구였나요?
  3. 발해를 “해동성국”이라 부른 나라는 어디인가요?
  4. 발해 문화의 3요소는 무엇인가요?

▶️ 다음 강 예고

📘 16강 – 후삼국 시대의 전개: 견훤, 궁예, 왕건의 등장과 후삼국 통일

  • 신라의 쇠퇴와 후백제·후고구려 성립
  • 고려의 건국과 삼한 통일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발해문화 #정효공주묘 #고구려계승 #해동성국 #발해불교 #유교제도 #말갈문화 #한국사기출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