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11 - 통일 신라의 중앙·지방 통치 구조 : 정비된 제도와 군사 조직

J.J.(제이제이) 2025. 4. 22. 21:48
반응형

📘통일 신라의 통치 체제 – 집사부, 9서당 10정, 지방 행정을 정리해드릴게요.

신라가 삼국 통일을 달성한 이후, 더욱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를 구축하게 됩니다.
통일 신라는 기존의 귀족 중심 회의 정치에서 벗어나 왕 중심의 행정 조직을 갖추었고,
중앙 집정 기구인 집사부를 중심으로 권력이 재편되었습니다.
또한 9서당·10정 등의 군사 제도와 9주 5소경 체계는
국가 행정과 군사력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핵심 장치였습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11

통일 신라의 중앙·지방 통치 구조 – 정비된 제도와 군사 조직

 


📜 기출 사료 발췌

“국정은 집사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시중이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였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군사는 9서당과 10정으로 나뉘었고, 9서당은 중앙군, 10정은 지방군이었다.”
– 《삼국사기》 군제조

“지방은 9주로 나뉘며, 주요 지점에 소경을 두어 수도와의 균형을 맞추었다.”
– 《삼국사기》 지리지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통일 신라가 통일 이후 중앙과 지방의 행정, 군사 체계를 정비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집사부는 이전 화백회의 중심의 귀족 정치에서 벗어나 왕의 행정 집행 기구로서 기능했고,
군사력은 9서당(중앙군), 10정(지방군)으로 나뉘어 조직적인 국가 방어 체계를 갖추게 되었습니다.


📍 통일 신라의 통치 제도 요약

항목 내용

중앙 행정 14부 체제 / 그 중심은 집사부
실권자 시중 (집사부 수장) → 국정 주도
군사 제도  
– 9서당: 중앙군, 신라·고구려·백제 유민 포함  
– 10정: 지방군, 9주에 1정씩, 국경 지역에는 2정  
지방 제도  
– 9주: 전국을 9개 주로 나눔  
– 5소경: 수도 보완, 지방 세력 견제  
– 외사정 파견: 중앙의 명령을 지방에 전달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중 통일 신라의 지방 행정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 지방은 5도 양계로 나누고, 군현제를 실시하였다.
② 9주 5소경 체제를 운영하며, 외사정을 파견하였다.
③ 지방은 부·목·군·현으로 나뉘었고, 향리 제도를 활용하였다.
④ 5경 15부 62주는 발해의 지방 행정 체계이다.
➡️ 정답: ②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집사부 실질적 행정 기구 → 왕권 강화의 상징
시중 집사부의 수장 → 왕 다음의 실권자
화백회의 여전히 존재하나 상징적 의미로 축소
5소경 지리적 균형 + 수도 집중 완화
9서당 민족 융합 군대 → 고구려·백제 유민 포함
10정 각 주를 담당하는 지방군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문무왕 이후 왕권 강화 → 행정 기구로 집사부 중심 체제 강화
  • 김흠돌의 난(681) 진압 → 귀족 세력 견제 성공
  • 9주 5소경 → 수도 중심 행정 보완 + 지방 균형 유지
  • 군사제도 → 통일 후에도 국경 방어 대비 체제 유지

 

✍️ 정리 한 줄 요약

통일 신라는 집사부 중심의 중앙 행정 체제와 9서당·10정 군사 제도, 9주 5소경 지방 제도를 통해 강력한 중앙집권 국가로 거듭났으며, 이는 신라 중대의 정치 안정 기반이 되었습니다.


📘 다음 112편에서는 신라의 불교 문화 정점 – 불국사·석굴암, 승려·불상·종 등 통일신라의 예술 사료들을 정리합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