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30 - 세조의 왕권 강화 : 신권을 누르고 법제를 정비하다

J.J.(제이제이) 2025. 4. 22. 21:45
반응형


📘 이번에는 세조의 왕권 강화 정책
직전법 시행, 집현전 폐지, 경국대전 편찬 착수 등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한능검 기출 사료 130 

세조의 왕권 강화 – 신권을 누르고 법제를 정비하다

✅  서두

세조는 계유정난을 통해 왕위에 오른 인물로, 즉위 후 왕권 강화를 위한
강력한 중앙집권 정책을 펼쳤습니다.
집현전과 경연을 폐지하며 신권을 약화시켰고,
토지 제도 개편을 통해 관료 통제를 시도했습니다.
또한 경국대전 편찬에 착수하며 조선의 법치 국가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세조 시기 통치 강화와 제도 정비 관련 사료들을 살펴봅니다.


📜 기출 사료 발췌

“왕은 집현전을 폐지하고, 경연을 중단하였으며 육조직계제를 시행하여 직접 정무를 처리하였다.”
– 《세조실록》

“토지의 수조권을 현직 관리에게만 지급하도록 하였다.”
– 《경국대전》 전편

“경국대전의 편찬이 시작되어 법령을 정비하고 국가 통치 기준을 마련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성종실록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세조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신권을 억제하고,
행정·토지·법제 측면에서 새로운 통치 질서를 구축한 과정을 보여줍니다.

  • 육조직계제 부활: 왕이 육조(행정부)를 직접 지휘 → 의정부 무력화
  • 집현전·경연 폐지: 유학자 견제, 비판 세력 제거
  • 직전법 시행(1466): 현직 관료만 수조권 → 국가의 토지 지배력 강화
  • 경국대전 편찬 착수: 성종 대 완성될 조선 통치 기본법의 시작

📍 세조의 주요 통치 정책 요약

정책 설명 목적

육조직계제 국왕이 직접 6조 장관 통솔 왕권 강화
집현전·경연 폐지 유학자 정치 참여 차단 신권 억제
직전법 시행 수조권을 현직 관료에만 부여 토지 세습 방지, 국가 통제 강화
경국대전 편찬 시작 조선 법전 정비 착수 통치 질서 제도화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내용은 조선의 어느 왕과 관련된 정책인가?
“집현전을 폐지하고, 육조직계제를 시행하여 정무를 왕이 직접 처리하였다.”
① 태종
② 세종
③ 세조
④ 성종
➡️ 정답: ③ 세조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계유정난(1453) 수양대군이 김종서 제거 → 권력 장악
육조직계제 왕권 중심 행정체제 → 의정부서사제와 대비
직전법 과전법의 한계 보완 → 전세 수입 안정
경국대전 성종 대 완성 → 6전 구성, 조선 법치국가 완성 기반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세조의 업적과 한계: 행정 개혁은 강력했지만,
    반대파 숙청으로 정치적 갈등도 유발
  • 집현전 폐지 이유: 훈구 대신 중심 정국 운영
  • 직전법 폐지(명종) → 녹봉제로 전환, 수조권 제도 소멸

 

✍️ 정리 한 줄 요약

세조는 육조직계제, 직전법 시행, 집현전 폐지 등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경국대전 편찬에 착수하며 조선의 통치 기반을 확립했습니다.


📘 다음 131편에서는 성종 대 경국대전 완성과 유교 정치의 본격화,
홍문관 설치, 경연 강화 등의 내용을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31편도 바로 시작하실까요? 😊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