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13 - 신라 하대의 혼란 : 진골 귀족 분열과 민심의 반란

J.J.(제이제이) 2025. 4. 20. 22:29
반응형


📘 이번에는 신라 하대의 정치 혼란과 사회 불안,진골 귀족의 왕위 다툼과 농민 반란 등을 보여주는 사료를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통일 이후 찬란했던 신라의 전성기는 8세기를 지나며 점차 균열되기 시작합니다.
왕권은 약화되고 진골 귀족들 사이의 왕위 다툼은 극심해졌으며,
지방 세력의 반란과 농민 항쟁까지 겹치면서 국가 통합이 무너지고 있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신라 하대의 정치 혼란과 사회적 불안이 드러난 사료들을 통해
신라 멸망의 원인을 살펴봅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13 

신라 하대의 혼란 – 진골 귀족 분열과 민심의 반란

 


📜 기출 사료 발췌

“왕이 되기를 원하는 자가 많았고, 서로 죽고 죽이며 정변이 이어졌다.”
– 《삼국사기》 신라 하대 본기

“궁예는 양길의 무리를 흡수하고, 왕건은 궁예의 부장으로 활동하다가 그 뒤에 고려를 세웠다.”
– 《고려사》 태조 본기

“장보고는 청해진을 근거지로 삼아 해상 교역과 군사 활동을 하며, 해적을 물리쳤다.”
– 《삼국사기》 장보고 열전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신라 하대에 나타난 정치 불안, 지방 세력의 성장, 새로운 지도자의 등장을 보여줍니다.

  • 왕위 다툼 반복 → 진골 귀족 분열 심화
  • 장보고 → 지방 세력 기반 장악 + 해상권 통제
  • 궁예·왕건 → 후삼국 시기의 새로운 정치 세력 부상

📍 신라 하대 혼란의 배경

원인 설명

왕위 다툼 진골 귀족 내 경쟁 격화 → 반란·정변 연속
귀족 권력 분산 중앙 통제력 약화 → 지방 세력 성장
지방 반란 원종·애노의 난(889) → 농민 반란 확대
군사력 약화 국경 방비 약화, 호족 군벌 등장
후삼국 성립 궁예(후고구려), 견훤(후백제), 왕건(고려) 등장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중 신라 하대의 상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왕권이 강해져 화백 회의가 폐지되었다.
② 9주 5소경 체제가 전국적으로 강화되었다.
③ 왕위 다툼과 농민 반란으로 중앙의 통제력이 약화되었다.
④ 불국사와 석굴암이 새로 조성되었다.
➡️ 정답: ③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원종·애노의 난 (889) 진성여왕 시기 → 지방 세력 봉기
장보고 해상 무역과 군사력 장악 → 청해진 설치
궁예 후고구려 세움, 철원 천도, 미륵신앙 활용
왕건 궁예의 부하 → 고려 건국
후삼국 시대 신라 왕권 붕괴 이후 삼국 재편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진골 체제 붕괴 → 왕권 약화의 핵심
  • 6두품 불만 → 정치 참여 한계로 사상·문학 중심 활동
  • 호족 세력 성장 → 장군, 해상 세력, 토착 귀족 중심
  • 불교의 타락 → 정치화, 형식화 → 신뢰 하락

 


✍️ 정리 한 줄 요약

신라 하대는 진골 귀족의 왕위 쟁탈과 농민 반란, 지방 세력 성장으로 인해 왕권이 무너지고 사회 혼란이 극심해졌으며, 이는 후삼국 시대의 전개로 이어지는 결정적 배경이 되었습니다.


📘 다음 114편에서는 발해의 건국과 고구려 계승의 사료,그리고 당과의 외교, 통치 체제를 살펴보는 내용으로 정리해드릴게요.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