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는 발해의 건국과 고구려 계승,그리고 통치 체제와 당나라와의 외교 관계 등을 보여주는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발해는 고구려 유민 대조영에 의해 세워진 나라로,
고구려의 영토와 문화를 계승하면서 새로운 동북아 세력으로 떠올랐습니다.
‘해동성국’이라 불릴 만큼 발전한 발해는
중국·일본과의 외교 관계 속에서도 당당히 자주성을 지키며
신라와는 남북국 시대를 형성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발해의 건국과 제도, 외교를 보여주는 기출 사료를 통해
고대 동북아 정세를 조망해봅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14
발해의 건국과 고구려 계승 – 해동성국을 향한 첫걸음
✅ SEO 최적화된 서두
발해는 고구려 유민 대조영에 의해 세워진 나라로,
고구려의 영토와 문화를 계승하면서 새로운 동북아 세력으로 떠올랐습니다.
‘해동성국’이라 불릴 만큼 발전한 발해는
중국·일본과의 외교 관계 속에서도 당당히 자주성을 지키며
신라와는 남북국 시대를 형성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발해의 건국과 제도, 외교를 보여주는 기출 사료를 통해
고대 동북아 정세를 조망해봅니다.
📜 기출 사료 발췌
“고구려를 계승한 대조영이 동모산에 나라를 세우고, 국호를 진이라 하였다.”
– 《삼국사기》 발해 고기 인용
“당은 발해를 ‘고구려를 무너뜨린 자가 다시 나라를 세운 것’이라 하여, 당의 속국으로 삼으려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 《구당서》 열전
“발해는 3성 6부의 중앙 관제를 갖추고, 문물제도는 당을 모방하였다.”
– 《신당서》 발해전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발해가 고구려 계승 의식을 갖고 독립 국가로 출발하였으며,
당과의 외교적 긴장, 중앙 통치 체제의 정비 등을 보여주는 핵심 자료입니다.
- 대조영은 고구려 유민으로 동모산에서 발해 건국
- 당은 이를 고구려의 부활로 간주하고 견제
- 발해는 3성 6부 중앙 집권 체제와 5경 15부 62주 지방 제도를 갖추며 강국으로 성장
📍 발해의 국가 구조 요약
항목 내용
건국자 | 대조영 (698년), 동모산 |
초기 국호 | 진 → 발해(713) |
중앙 제도 | 3성 6부제 도입 → 당 모방 + 독자 운영 |
지방 제도 | 5경 15부 62주 |
군사·문화 | 고구려 문화 계승 + 말갈 세력 융합 |
외교 | 당·신라·일본과 교류 / 해동성국이라 불림 |
📍 고구려 계승 의식
- 대조영은 스스로를 고구려 왕족의 후예로 인식
- 《구당서》도 발해를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로 기록
- 문왕 때 최고 전성기: 당과 대등한 외교, 일본과 사절 왕래 활발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는 어느 나라의 건국 배경을 설명한 것인가?
“고구려를 계승한 자가 동모산에 나라를 세웠다.”
① 고구려
② 발해
③ 후고구려
④ 백제
➡️ 정답: ② 발해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3성 6부제 | 중서성, 문하성, 상서성 / 6부로 행정 분담 |
5경 제도 | 수도 보완 + 지방 통제 체제 |
문왕 | 전성기, ‘해동성국’ → 당과 대등 외교 |
일본 외교 | 국서를 ‘고려왕’ 명의로 발송 → 고구려 계승 드러냄 |
신라와의 관계 | 남북국 시대 병존, 일부 국경 갈등 존재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말갈족 통합: 고구려+말갈 융합 민족 국가
- 당의 책봉 외교 거부: 자주적 외교 노선
- 유학과 불교 수용: 문치주의 강화
- 발해 멸망(926): 거란(요나라)의 침략
✍️ 정리 한 줄 요약
발해는 고구려를 계승한 대조영에 의해 건국되어 자주적 외교와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를 통해 ‘해동성국’이라 불릴 만큼 융성했으며, 신라와 함께 남북국 시대를 대표한 국가입니다.
📘 다음 115편에서는 발해의 문화와 유물, 일본과의 외교 사료들을 정리해드릴게요.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16 - 후삼국의 성립과 고려의 등장 : 무너지는 신라, 떠오르는 새 왕조 (0) | 2025.04.21 |
---|---|
한능검 기출 사료 115 - 발해의 문화와 외교 : 해동성국의 자부심과 국제 교류 (4) | 2025.04.21 |
한능검 기출 사료 113 - 신라 하대의 혼란 : 진골 귀족 분열과 민심의 반란 (8) | 2025.04.20 |
한능검 기출 사료 60 -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와 통일의 전략적 의미 (4) | 2025.04.20 |
한능검 기출 사료 110 - 삼국의 불교 문화와 예술 : 사찰과 탑, 무덤이 전하는 고대 미학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