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는 위화도 회군과 고려 멸망,그리고 조선 건국 과정을 중심으로 한 사료들을 정리해드릴게요.
고려 말, 왜구와 홍건적의 침입, 무능한 정치, 권문세족의 횡포로 사회는 크게 흔들렸고,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흥 무장 세력과 신진 사대부는 개혁과 새 질서를 요구했습니다.
그 결정적인 사건이 바로 위화도 회군이며, 이후 고려는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위화도 회군부터 조선 건국에 이르는 흐름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봅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27
위화도 회군과 조선 건국 – 무너지는 고려, 떠오르는 새 왕조
.
📜 기출 사료 발췌
“이성계는 요동 정벌을 명령받았으나, 회군하여 개경으로 돌아와 정권을 장악하였다.”
– 《고려사절요》 공양왕조
“정몽주는 끝까지 고려에 충성하였고, 선죽교에서 이방원에게 살해되었다.”
– 《연려실기술》 정몽주조
“신왕은 하늘의 명을 받아 나라를 새롭게 열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고려의 충신 정몽주와의 갈등,
새로운 조선의 건국 과정을 보여줍니다.
- 위화도 회군(1388): 명의 요동 정벌 거부 → 고려 정권 장악
- 정몽주 vs 이방원: 개혁파 vs 온건파 / “단심가”와 “하여가”의 대립
- 조선 건국(1392): 공양왕 폐위 → 이성계 즉위 → 국호 ‘조선’으로 변경
📍 고려 멸망과 조선 건국 흐름
사건 연도 핵심 내용
위화도 회군 | 1388 | 요동 출정 거부 → 이성계 정변 |
공양왕 즉위 | 1389 | 인형적 국왕 → 신진세력 실권 |
조선 건국 | 1392 | 이성계가 왕위에 오름 |
정몽주 제거 | 1392 | 온건파 제거 → 개혁 완성 기반 |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건을 일으킨 인물이 조선 건국의 주역으로 가장 적절한 설명은?
“그는 명의 요동 정벌 명령을 거부하고 군대를 이끌고 개경으로 돌아왔다.”
① 정몽주
② 최영
③ 이성계
④ 신돈
➡️ 정답: ③ 이성계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요동 정벌 | 명나라 공격 명령 → 실리 무시 → 반대 |
이성계 | 실권 장악 → 사대부와 연합하여 새 왕조 수립 |
정몽주 | 고려 충신 / “단심가”로 결기 표현 |
이방원 | 이성계의 아들 / 정몽주 제거, 정권 안정화 |
조선 | 1392년 건국 / 국호는 옛 조선 계승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신흥 무장 세력 + 신진 사대부 연합 → 조선 설계
- 권문세족 몰락 → 사회 구조 재편
- 조선 건국 과정의 정당성 확보 → 역성혁명 vs 민심 수습
- 건국 후 과제: 토지 개혁, 유교 정치 체제 확립
✍️ 정리 한 줄 요약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고려를 종식시켰으며,
조선을 새롭게 세워 새로운 유교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 다음 128편에서는 조선 건국 후 유교 정치 확립, 태조~태종 시기 주요 개혁 정책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28편도 바로 시작하실까요? 😊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29 - 세종대왕의 업적 : 훈민정음과 조선 르네상스의 정점 (2) | 2025.04.22 |
---|---|
한능검 기출 사료 128 - 조선 초 유교 정치의 정착 : 태조와 태종의 개혁 기초 다지기 (0) | 2025.04.22 |
한능검 기출 사료 126 - 고려 말 외침과 사회 불안 : 혼란 속에서 새 세력이 움트다 (0) | 2025.04.22 |
한능검 기출 사료 125 - 공민왕의 반원 정책과 개혁 : 고려의 자주를 되찾다 (0) | 2025.04.22 |
한능검 기출 사료 124 -원 간섭기 : 고려의 주권과 왕권이 흔들리다 (0) | 2025.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