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27 - 위화도 회군과 조선 건국 : 무너지는 고려, 떠오르는 새 왕조

J.J.(제이제이) 2025. 4. 22. 21:41
반응형


📘 이번에는 위화도 회군과 고려 멸망,그리고 조선 건국 과정을 중심으로 한 사료들을 정리해드릴게요.

고려 말, 왜구와 홍건적의 침입, 무능한 정치, 권문세족의 횡포로 사회는 크게 흔들렸고,
이성계를 중심으로 한 신흥 무장 세력과 신진 사대부는 개혁과 새 질서를 요구했습니다.
그 결정적인 사건이 바로 위화도 회군이며, 이후 고려는 멸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위화도 회군부터 조선 건국에 이르는 흐름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봅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27

위화도 회군과 조선 건국 – 무너지는 고려, 떠오르는 새 왕조

.


📜 기출 사료 발췌

“이성계는 요동 정벌을 명령받았으나, 회군하여 개경으로 돌아와 정권을 장악하였다.”
– 《고려사절요》 공양왕조

“정몽주는 끝까지 고려에 충성하였고, 선죽교에서 이방원에게 살해되었다.”
– 《연려실기술》 정몽주조

“신왕은 하늘의 명을 받아 나라를 새롭게 열고, 국호를 조선이라 하였다.”
– 《조선왕조실록》 태조실록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이성계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권력을 장악하고,
고려의 충신 정몽주와의 갈등,
새로운 조선의 건국 과정을 보여줍니다.

  • 위화도 회군(1388): 명의 요동 정벌 거부 → 고려 정권 장악
  • 정몽주 vs 이방원: 개혁파 vs 온건파 / “단심가”와 “하여가”의 대립
  • 조선 건국(1392): 공양왕 폐위 → 이성계 즉위 → 국호 ‘조선’으로 변경

📍 고려 멸망과 조선 건국 흐름

사건 연도 핵심 내용

위화도 회군 1388 요동 출정 거부 → 이성계 정변
공양왕 즉위 1389 인형적 국왕 → 신진세력 실권
조선 건국 1392 이성계가 왕위에 오름
정몽주 제거 1392 온건파 제거 → 개혁 완성 기반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건을 일으킨 인물이 조선 건국의 주역으로 가장 적절한 설명은?
“그는 명의 요동 정벌 명령을 거부하고 군대를 이끌고 개경으로 돌아왔다.”
① 정몽주
② 최영
③ 이성계
④ 신돈
➡️ 정답: ③ 이성계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요동 정벌 명나라 공격 명령 → 실리 무시 → 반대
이성계 실권 장악 → 사대부와 연합하여 새 왕조 수립
정몽주 고려 충신 / “단심가”로 결기 표현
이방원 이성계의 아들 / 정몽주 제거, 정권 안정화
조선 1392년 건국 / 국호는 옛 조선 계승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신흥 무장 세력 + 신진 사대부 연합 → 조선 설계
  • 권문세족 몰락 → 사회 구조 재편
  • 조선 건국 과정의 정당성 확보 → 역성혁명 vs 민심 수습
  • 건국 후 과제: 토지 개혁, 유교 정치 체제 확립

 

✍️ 정리 한 줄 요약

이성계는 위화도 회군을 통해 정권을 장악하고 고려를 종식시켰으며,
조선을 새롭게 세워 새로운 유교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였습니다.


📘 다음 128편에서는 조선 건국 후 유교 정치 확립, 태조~태종 시기 주요 개혁 정책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28편도 바로 시작하실까요? 😊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