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25 - 공민왕의 반원 정책과 개혁 : 고려의 자주를 되찾다

J.J.(제이제이) 2025. 4. 22. 21:39
반응형


📘 이번에는 공민왕의 반원 자주 정책과 내정 개혁,특히 쌍성총관부 수복, 정동행성 폐지, 권문세족 억제 등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원 간섭기를 거치며 약화된 고려의 자주성과 왕권은
공민왕의 반원 개혁 정책을 통해 되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북방 영토를 되찾았고,
정동행성을 폐지하며 내정을 회복했으며,
권문세족과 불교 세력을 견제하고 신진 관료를 등용하는 등
다양한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공민왕의 개혁을 보여주는 핵심 사료들을 정리해봅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25 

공민왕의 반원 정책과 개혁 – 고려의 자주를 되찾다

 


📜 기출 사료 발췌

“왕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철령 이북의 땅을 회복하고, 이성계를 시켜 북방을 방비하게 하였다.”
– 《고려사》 공민왕세가

“정동행성은 폐지되어 원의 내정 간섭을 물리쳤으며, 관제와 복식을 고려 본래대로 돌렸다.”
– 《고려사절요》

“왕은 권세를 지닌 가문들의 토지를 몰수하고, 새로운 신진 사류를 등용하였다.”
– 《고려사》 전지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공민왕이 반원 정책을 본격 추진하며 왕권과 자주권을 회복하고,
내부적으로 권문세족의 권력을 억제하며 개혁을 시도한 내용을 보여줍니다.

  • 쌍성총관부 공격(1356): 이성계 활약 → 국토 수복
  • 정동행성 폐지: 내정 간섭 종식, 복식·제도 고려식 회복
  • 전민변정도감 설치: 불법 토지 회수, 권문세족 견제
  • 신진 사대부 등용: 성리학적 이상 정치 기반 마련

📍 공민왕의 개혁 정책 정리

정책 내용 의의

반원 자주화 정책 쌍성총관부 공격, 정동행성 폐지 고려 자주성 회복
관제 복구 관직명·복식 고려식으로 복원 문화 정체성 회복
전민변정도감 설치 토지·노비 조사 및 정리 권문세족 경제력 약화
신진 사대부 등용 과거제 통한 성리학 인재 기용 개혁 세력 양성 기반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과 같은 개혁을 추진한 고려 왕은 누구인가?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영토를 회복하고, 정동행성을 폐지하였다.”
① 충렬왕
② 공민왕
③ 성종
④ 광종
➡️ 정답: ② 공민왕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이성계 쌍성총관부 공격 주도 → 향후 위화도회군 주도
전민변정도감 불법적으로 탈취된 토지와 노비를 조사·환수
신진 사대부 성리학 바탕 개혁 추진 세력 → 조선 개창 주역
권문세족 원 간섭기에 성장한 귀족 → 개혁에 저항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공녀제 폐지: 원의 인신 공납 중단
  • 홍건적·왜구 침입: 개혁 중단 요인 → 개경 피란(2차 홍건적 침입)
  • 개혁 한계: 왕권 약화 + 외세 침입 + 보수 세력 반발
  • 신흥 무장 세력 성장: 위화도회군, 조선 건국 기반

 

✍️ 정리 한 줄 요약

공민왕은 쌍성총관부 수복과 정동행성 폐지를 통해 고려의 자주권을 회복하고,
권문세족을 억제하며 성리학 기반의 개혁 정치에 나섰습니다.


📘 다음 126편에서는 고려 말의 사회 불안과 홍건적·왜구의 침입, 신흥 무장 세력의 성장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26편도 이어서 시작하실까요? 😊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