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34 - 사림의 재등장과 붕당의 시작 : 서원과 당론의 씨앗이 싹트다

J.J.(제이제이) 2025. 4. 23. 16:18

이번에는 사림의 재등장과 서원 확산, 붕당 정치의 시작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기묘사화 이후 몰락했던 사림은 명종과 선조 대에 다시 정치 무대로 복귀하며
서원을 중심으로 세력을 넓혀갔습니다.
이들은 학문적 계파와 정치적 성향에 따라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며
붕당 정치의 시작을 알리게 됩니다.
이번 편에서는 사림의 부활, 서원의 확산, 붕당 형성의 기초를 보여주는
대표 사료들을 살펴봅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34

사림의 재등장과 붕당의 시작 – 서원과 당론의 씨앗이 싹트다

 

 

📜 기출 사료 발췌

“지방의 유생들은 각지에 서원을 세우고 학문을 연마하며 선현에게 제사를 올렸다.”
– 《명종실록》

“사림의 분열로 정국이 동인과 서인의 양당으로 나뉘게 되었다.”
– 《선조수정실록》

“왕은 서원을 사액하여 국가로부터 인정을 받게 하였으며, 그 수가 점차 늘어났다.”
– 《조선왕조실록》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사림이 서원을 통해 지방 기반을 넓히고,
정치적으로 중앙에서 세력화하면서 붕당 정치의 시작을 마련한 흐름을 보여줍니다.

  • 서원의 확산: 유학 교육 + 향촌 교화 + 정치 세력 결집
  • 사림의 재등장: 명종 대 이황·이이 등 중심으로 등용
  • 붕당 형성의 배경: 학문·정치적 성향 차이 → 동인·서인 분화

📍 사림 재등장과 붕당 정치 시작 요약

항목 설명 의의

백운동서원 → 소수서원(1550) 주세붕 건립 → 이황의 건의로 명종이 사액 최초 사액서원
사림의 중앙 진출 선조 대 본격화 → 학파 형성 학문·정치 이념 분화
붕당 형성 이조 전랑 임명 문제 등으로 동인·서인 분화 당쟁의 출발점
동인 vs 서인 동인: 이황 계열 / 서인: 이이·성혼 계열 붕당 정치의 씨앗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내용과 관련된 조선의 정치 변화는 무엇인가?
“사림은 서원을 세워 학문과 도덕을 실천하고, 정치적으로는 동인과 서인으로 나뉘었다.”
① 무신정권 수립
② 사림의 정치 중심 진출
③ 훈구 세력 강화
④ 북벌론 전개
➡️ 정답: ② 사림의 정치 중심 진출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사액서원 국왕이 이름 하사 + 토지·노비 제공 → 국가 공인
이황(동인 계열) 도덕과 의리 중시, 성리학 이론 강화
이이(서인 계열) 실천과 개혁 중시, 현실 정치 지향
이조 전랑 인사권 관련 관직 → 붕당 형성의 주요 원인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사림의 향촌 기반: 서원·향약 통해 민심 장악
  • 서원의 정치적 기능: 지역 여론 주도 + 세력 기반
  • 붕당 정치 특징: 공론 중시 + 논쟁 활발 → 초기엔 긍정적 역할
  • 선조 대 붕당 본격화: 이후 당쟁으로 심화

 

✍️ 정리 한 줄 요약

기묘사화 이후 정치 무대에서 밀려났던 사림은 명종·선조 대에 다시 등장하여
서원을 통해 세력을 확대했고, 동인과 서인으로 분화되며 붕당 정치의 시대가 시작되었습니다.


📘 다음 135편에서는 임진왜란과 의병, 훈련도감 설치, 국난 극복 과정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135편도 이어서 시작하실까요? 😊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