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48 -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수립 : 자주독립을 향한 외침

J.J.(제이제이) 2025. 4. 24. 14:38
반응형

아관파천 이후 고종은 친러 외교를 강화하며
자주적 근대 국가를 표방하려는 시도에 나섰습니다.
이때 국민 계몽과 정치 개혁을 목표로 한
‘독립협회’가 등장해 자주 독립과 민권 신장을 외쳤고,
1897년에는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바꾸며
황제 중심의 근대 국가 수립이 선포됩니다.
이번 편에서는 독립협회의 활동과 대한제국 수립 과정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한능검 기출 사료 148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수립 – 자주독립을 향한 외침

 


📜 기출 사료 발췌

“독립문을 세우고, 자주국임을 만천하에 알리며, 국민의 힘을 키워야 한다.”
– 《독립신문》 창간호

“황제는 왕보다 높고, 대한은 대국의 위엄을 뜻하니,
조선은 이제 완전한 자주국가로 나아간다.”
– 고종의 대한제국 선포 조칙 (1897)

“의회 설립을 통해 민의를 정치에 반영하고,
부패한 관료를 탄핵하는 권리를 백성에게 부여하자.”
– 《만민공동회 연설문》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아관파천 이후 자주독립을 목표로 한 국민운동과,
고종이 황제로 즉위하며 추진한 자주적 근대 국가 수립 의지를 보여줍니다.

  • 독립협회(1896~1898): 서재필·윤치호 주도 → 언론, 집회, 탄핵 운동 전개
  • 독립신문 창간: 한글·영문판 발간 → 계몽 + 자주 의식 확산
  • 만민공동회 개최: 시민 직접 정치 참여 주장 / 의회 설립 요구
  • 대한제국 수립(1897): 고종이 환궁 후 황제 즉위 → 전제 황제제 선언
  • 광무개혁 추진: 근대적 행정·산업 개혁 시도

📍 주요 사건 요약

항목 내용 의의

독립협회 활동 자주 독립 + 민권 신장 운동 / 정부 개혁 촉구 근대적 시민운동의 출발
독립문 건립 청의 영은문 대신 / 자주국 상징 반청·반외세 상징
만민공동회 관료 탄핵, 의회 설립 주장 대중 정치 참여 시도
대한제국 수립(1897) 국호 변경, 고종 황제 즉위 자주적 근대 국가 지향
광무개혁(1898~1904) 양전사업, 공장 설립, 상공업 육성 등 자주 근대화 정책 시도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에서 설명하는 단체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우리는 독립문을 세우고, 국민의 뜻을 정치에 반영하며, 자주 국가를 만들어야 한다.”
① 동학농민군의 활동
② 갑신정변의 정강
③ 독립협회의 주장
④ 의열단의 강령
➡️ 정답: ③ 독립협회의 주장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서재필 독립신문 창간, 독립협회 주도 / 최초의 민간 개혁가
독립협회 해산(1898) 보수 세력 반발 + 황제권 위협 판단
광무개혁 구본신참 원칙 / 황제권 강화 + 근대화 병행
원수부 설치 황제 직속 군통수기구 / 군제 개편 의지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자주 독립 운동의 전환점: 위정척사 → 실천적 시민운동
  • 제국 수립의 딜레마: 자주 의지 + 전제 정치 강화
  • 의회 설립 논의: 근대 입헌 정치에 대한 최초 논의
  • 광무개혁의 한계: 재정 부족 + 외세 간섭 → 실효성 저하

 

✍️ 정리 한 줄 요약

독립협회는 자주와 민권을 외쳤고,
고종은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조선을 황제국가로 전환시키려 했지만,
이는 곧 외세와 내부 반발 속에서 좌절을 맞게 됩니다.


📘 다음은 한능검 기출 사료 149:
러일전쟁과 국권 피탈의 시작 – 외교권을 빼앗기다 편으로 바로 이어집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