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세기 초, 조선을 둘러싼 국제 정세는
러시아와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 경쟁으로 요동쳤습니다.
1904년 러일전쟁은 조선 땅에서 벌어진 대리전이었고,
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조선의 외교권을 박탈하며
본격적인 식민 지배의 길로 나아갑니다.
이번 편에서는 러일전쟁의 전개와 을사늑약 체결 과정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한능검 기출 사료 149
러일전쟁과 국권 피탈의 시작 – 외교권을 빼앗기다
📜 기출 사료 발췌
“일본은 조선의 중립 선언을 무시하고, 군대를 서울에 진주시켰다.”
– 《러일전쟁 개전 직후 조선 관보》
“통감이 외교 사무를 총괄하고, 조선 정부는 외교권을 행사할 수 없다.”
– 《을사조약 제2조》
“이 조약은 강제로 체결되었으니, 조선 황제는 이를 인정하지 아니한다.”
– 고종의 을사조약 반포 거부 조칙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러일전쟁이 조선의 자주성을 침해하는 출발점이 되었으며,
전쟁 직후 일본이 을사늑약을 통해 외교권을 강탈한 상황을 보여줍니다.
- 러일전쟁(1904~1905): 조선의 중립 선언 무시 / 일본군 서울 점령
- 한일의정서(1904): 일본군의 전략상 편의 보장 / 조선 내 군사 행동 허용
- 을사늑약(1905): 외교권 박탈 + 통감부 설치 → 실질적 보호국화
- 고종의 조약 무효 선언: 국제 사회에 부당성 호소 → 헤이그 특사 파견(1907)
📍 주요 사건 흐름 요약
시기 사건 내용
1904.2 | 러일전쟁 발발 | 일본이 선제공격 → 서울 점령 |
1904.2 | 한일의정서 체결 | 조선 내 군사 행동 허용 → 주권 침해 |
1905.11 | 을사늑약 체결 | 외교권 박탈 / 통감부 설치 |
1905.12 | 통감부 설치 | 초대 통감 이토 히로부미 부임 |
1906~1907 | 고종의 저항 | 무효 조칙 반포, 헤이그 특사 파견 |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조약의 결과로 볼 수 있는 현상은?
“통감이 조선의 외교를 관리하며, 일본은 조선의 외교권을 행사한다.”
① 조선이 독립 국가로 인정받았다
② 조선이 국제 연맹에 가입하였다
③ 조선의 외교권이 일본에 의해 박탈되었다
④ 조선이 청나라의 속국으로 전락하였다
➡️ 정답: ③ 조선의 외교권이 일본에 의해 박탈되었다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통감부 | 조선 외교권을 담당하는 일본 통치 기관 / 한성에 설치 |
이토 히로부미 | 초대 통감 / 후에 안중근에게 피살 |
한일의정서 | 일본의 군사 행동 보장 / 주권 침해 공식화 |
을사늑약 | 외교권 박탈 조약 / 황제의 비준 없이 체결 |
5적 | 을사늑약 협조 인사 → 이완용, 박제순 등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외교권 박탈 → 내정 간섭으로 확대: 교육, 재정, 경찰권 순차적으로 침탈
- 을사오적과 의열 활동: 민족적 분노 폭발 → 애국 계몽운동·의병 재봉기
- 고종의 외교전 실패: 열강의 묵인 → 조선의 외교적 고립 심화
- 식민지화 단계 시작: 통감부 설치 → 국권 완전 상실의 전조
✍️ 정리 한 줄 요약
러일전쟁 이후 일본은 조선의 외교권을 강탈하며 을사늑약을 체결했고,
이를 통해 조선은 실질적인 보호국으로 전락하게 됩니다.
📘 다음은 한능검 기출 사료 150:
헤이그 특사 파견과 국권 수호 운동 – 세계에 알린 조선의 절규 편으로 계속 이어집니다.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51 - 정미의병과 국채보상운동 : 무장 저항과 국민운동의 분출 (1) | 2025.04.24 |
---|---|
한능검 기출 사료 150 - 헤이그 특사 파견과 국권 수호 운동 : 세계에 알린 조선의 절규 (0) | 2025.04.24 |
한능검 기출 사료 148 -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수립 : 자주독립을 향한 외침 (1) | 2025.04.24 |
한능검 기출 사료 147 -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 외세 속 왕권의 흔들림 (1) | 2025.04.24 |
한능검 기출 사료 146 - 동학농민운동과 갑오개혁 : 백성의 봉기, 나라를 바꾸다 (0)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