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51 - 정미의병과 국채보상운동 : 무장 저항과 국민운동의 분출

J.J.(제이제이) 2025. 4. 24. 14:46
반응형

1907년 고종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은 조선의 주권 상실을 가속화시켰고,
이를 계기로 무장 항쟁이 전면화됩니다.
특히 해산된 군인들이 주축이 되어 벌인 ‘정미의병’은
전국적으로 조직적 규모로 확대된 항일 무장투쟁이었고,
이와 동시에 일본에게 진 빚을 갚기 위해 국민이 자발적으로 나선
‘국채보상운동’은 근대 민족운동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이 두 항일운동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한능검 기출 사료 151

정미의병과 국채보상운동 – 무장 저항과 국민운동의 분출

 


📜 기출 사료 발췌

“군대는 해산되었고, 우리는 총을 들고 의병이 되어
나라를 지킬 것을 맹세하노라.”
– 정미의병 선언문 (1907)

“일본에 진 빚을 백성의 힘으로 갚아
경제적 자주를 되찾자.”
– 대구 국채보상운동 격문 (1907)

“구두를 신지 말고, 금반지를 팔아 국채를 갚자.”
– 《황성신문》 사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1907년 이후 조선 민중이 식민지화에 저항하여
무장 항쟁과 경제적 자립운동을 동시에 펼쳤음을 보여줍니다.

  • 정미의병(1907): 정미7조약으로 군대 해산 → 해산된 군인 + 유생·민중
  • 13도 창의군 조직: 서울 진공 작전 계획 → 실패
  • 대표 인물: 이범윤, 허위, 신돌석, 민종식 등
  • 국채보상운동(1907~1908): 대구에서 시작 → 전국 확산
  • 목표: 일본에게 진 1300만 원 국가 채무 상환 → 경제적 독립 지향
  • 중단: 일본 통감부의 탄압 및 언론 통제

📍 사건 흐름 요약

항목 정미의병 국채보상운동

배경 정미7조약으로 군대 해산 일본의 경제적 침탈 심화
주도층 해산 군인 + 유생 + 민중 국민 자발 참여 (대구 서상돈 등)
전개 양상 조직적 무장 항쟁 / 전국 확산 언론·계몽 중심 비폭력 운동
대표 인물 허위, 이범윤, 민종식, 신돌석 서상돈, 김광제
결과 전투력 약화 + 탄압으로 소멸 통감부 탄압으로 중단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운동의 공통된 목적은 무엇인가?
“나라를 지키기 위해 다시 총을 들었다.”
“우리는 금붙이를 팔아 국채를 갚을 것이다.”
① 황제 중심의 권력 강화
② 독립신문 재창간
③ 국권 회복과 자주 경제 실현
④ 외국 자본의 유치
➡️ 정답: ③ 국권 회복과 자주 경제 실현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정미7조약 군대 해산 + 통감부 권한 강화 조약
서울 진공 작전 13도 창의군이 계획 / 한성 탈환 목표
허위 정미의병 총대장, 일본군에 피체
서상돈 대구 국채보상운동 주도 / 성금 모금
대한매일신보 영국인 베델 발행 / 국채보상운동 지지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의병의 변화: 을사의병 → 정미의병으로 조직화·전문화
  • 국민 계몽의 성장: 단순 저항에서 → 경제·교육 자립으로 확대
  • 언론의 역할: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 적극 참여
  • 국채보상운동의 역사적 의의: 민족자본 형성과 민족운동의 기틀 마련

 

✍️ 정리 한 줄 요약

정미의병은 군대 해산에 맞서 시작된 조직적 무장 항쟁이었고,
국채보상운동은 국민이 자발적으로 나서 경제적 자립을 도모한
근대 민족운동의 이정표였습니다.


📘 다음은 한능검 기출 사료 152:
애국계몽운동과 신민회 – 교육과 조직으로 독립을 꿈꾸다 편으로 이어집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