을사늑약으로 외교권을 강탈당한 후,
조선은 사실상 일본의 보호국으로 전락했지만,
고종과 애국 계몽 인사들은 이를 인정하지 않았습니다.
1907년, 고종은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세계에 호소하고자
네덜란드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특사를 파견했으며,
이 사건은 국권 회복을 위한 마지막 외교적 몸부림이자,
국내외 항일 운동의 촉매제가 되었습니다.
한능검 기출 사료 150
헤이그 특사 파견과 국권 수호 운동 – 세계에 알린 조선의 절규
📜 기출 사료 발췌
“황제 폐하의 명을 받아 이곳 회의에 참가하였으니,
조선은 독립국임을 밝히고, 일본의 침탈을 규탄하노라.”
– 헤이그 특사 이준의 연설문 중
“조약은 강제로 체결되었기에 무효이며,
조선의 외교권은 침해당하였다.”
– 고종의 밀명서 중 발췌
“특사가 회의장에 들어가는 것조차 막혔으며,
조선의 항의는 국제 사회의 외면을 받았다.”
– 《만국평화회의 외신 보도》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고종이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국제 사회에 알리기 위해
헤이그에 특사를 파견한 사건의 배경과 좌절,
그리고 이 사건이 갖는 국권 수호 의지의 상징성을 보여줍니다.
- 헤이그 특사 파견(1907): 이상설·이준·이위종 밀파
- 목적: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세계에 고발 / 조선의 독립국임 주장
- 결과: 일본의 방해로 회의 참석 불가 → 실패
- 영향: 고종 강제 퇴위 / 정미7조약 체결 → 군대 해산 → 정미의병 발생
📍 주요 사건 흐름 요약
시기 사건 내용 및 의미
1905 | 을사늑약 | 외교권 박탈 → 통감부 설치 |
1907.6 | 헤이그 특사 파견 | 고종의 비밀 외교 시도 |
1907.7 | 회의 참석 실패 | 열강 외면, 국제 고립 확인 |
1907.7 | 고종 강제 퇴위 | 순종 즉위 / 고종의 저항 실패 |
1907.7 | 정미7조약 체결 | 군대 해산 → 무장 항쟁 본격화 |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와 관련된 사건으로 옳은 것은?
“조선은 자주독립국이며, 일본은 외교권을 강제로 침탈하였다.”
① 강화도 조약 체결
② 을사늑약 체결
③ 헤이그 특사 파견
④ 한일병합조약 체결
➡️ 정답: ③ 헤이그 특사 파견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이준 | 헤이그 특사 / 회의 직후 순국 → 순국정신 상징 |
이상설 | 독립운동가 / 간도에 서전서숙 설립 |
이위종 | 러시아어 통역 / 국제 외교활동 경험 |
정미7조약 | 일본 고문 정치 심화 / 군대 해산 조항 포함 |
정미의병 | 해산된 군인 중심 의병봉기 → 조직적 항일운동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국제 외교 실패의 상징: 헤이그 특사 거부 → 열강의 외면 재확인
- 고종 퇴위 → 순종 즉위: 일본의 통치 간섭 노골화
- 의병 운동 전환점: 애국 계몽 + 무장 항쟁 병행
- 대한제국의 몰락 가속화: 국권 회복 노력 실패 연속
✍️ 정리 한 줄 요약
헤이그 특사 파견은 을사늑약의 부당함을 세계에 고발하려는
고종과 애국지사들의 최후의 외교 시도였지만,
결국 외세의 외면 속에 실패하며 국권 피탈은 더욱 가속화되었습니다.
📘 다음은 한능검 기출 사료 151:
정미의병과 국채보상운동 – 무장 저항과 국민운동의 분출 편으로 바로 이어집니다.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52 - 애국계몽운동과 신민회 : 교육과 조직으로 독립을 꿈꾸다 (6) | 2025.04.24 |
---|---|
한능검 기출 사료 151 - 정미의병과 국채보상운동 : 무장 저항과 국민운동의 분출 (1) | 2025.04.24 |
한능검 기출 사료 149 - 러일전쟁과 국권 피탈의 시작 : 외교권을 빼앗기다 (1) | 2025.04.24 |
한능검 기출 사료 148 -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수립 : 자주독립을 향한 외침 (1) | 2025.04.24 |
한능검 기출 사료 147 - 을미사변과 아관파천 : 외세 속 왕권의 흔들림 (1) | 2025.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