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52 - 7·4 남북 공동 성명 : 첫 공식 대화의 시작

J.J.(제이제이) 2025. 4. 15. 10:41
반응형

1972년 7월 4일, 남북한은 사상 최초로 공식적인 합의문을 공동 발표하며 분단 이후 최초의 직접 소통을 시도했습니다. ‘7·4 남북 공동 성명’은 통일 논의를 위한 3대 원칙을 제시하며, 향후 남북 관계의 기본 방향을 설정한 역사적인 전환점이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성명의 배경, 내용, 의미를 살펴봅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52

7·4 남북 공동 성명 – 첫 공식 대화의 시작

 

📜 기출 사료 발췌

“남북은 서로 상대방의 체제를 인정하고, 통일 문제를 자주적이고 평화적으로 해결하며, 민족 대단결의 원칙 아래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1972년 발표된 7·4 남북 공동 성명의 핵심 구절로, **남북 통일의 3대 원칙(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을 천명한 문장입니다. 이 성명은 박정희 정부와 북한의 김일성 정권이 비공개 접촉을 통해 합의한 결과로, 남북 간 첫 공식 문서화된 정치적 대화였습니다. 비록 실질적인 이행은 미흡했지만, 이후 남북 대화의 초석이 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닙니다.

핵심 키워드:

  • 7·4 공동 성명 → 최초의 남북 합의문
  • 통일 3대 원칙 →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
  • 대화의 시작 → 공식 접촉을 통한 긴장 완화 시도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의 내용을 담은 남북 합의문은?
“통일 문제를 자주적이고 평화적으로 해결하며, 민족 대단결의 원칙 아래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① 6·15 공동 선언 ② 7·4 공동 성명 ③ 10·4 선언 ④ 판문점 선언
➡️ 정답: ② 7·4 공동 성명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7·4 공동 성명(1972) 최초의 남북한 공동 합의문 발표
통일 3대 원칙 자주: 외세 개입 배제 / 평화: 무력 충돌 배제 / 민족 대단결: 이념 차이 초월
비공식 접촉 이후 각종 대화 및 회담의 기반이 됨
이후의 영향 6·15, 10·4, 판문점 선언 등 후속 성명들의 모태 역할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박정희 정부의 유화 제스처: 안보를 중시하면서도 남북 대화 모색
  • 냉전 체제 하 남북 관계: 국제 정세와 맞물린 전략적 대화
  • 대화와 단절의 반복: 성명 이후 군사적 충돌과 정치적 냉각기 재발
  • 선언의 형식화 문제: 실제 이행보다 선언적 의미에 그친 한계

 

✍️ 정리 한 줄 요약

7·4 남북 공동 성명은 분단 이후 최초로 남북이 공식 대화를 통해 통일 원칙을 합의한 역사적인 사건으로, 이후 남북 관계의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