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11 -강화도조약 : 조선의 문을 연 불평등 조약

J.J.(제이제이) 2025. 4. 8. 16:57

1876년 강화도조약은 운요호 사건을 계기로 조선이 일본과 체결한 첫 근대적 조약으로, 외교적 자주를 명시했지만 실질적으론 불평등 조약이었습니다. 해안 측량권과 치외법권 등 일본의 침투를 허용하며 조선 개항의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⑪

강화도조약 – 조선의 문을 연 불평등 조약

📜 기출 사료 발췌

“조선국은 자주국이며, 일본국과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일본국의 관리가 조선 해안 측량을 할 수 있고, 부산 외에 원산과 인천 항구를 추가로 개항한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1876년 체결된 강화도조약(조일수호조규)**의 핵심 조항 일부로, 조선이 일본의 군사적 위협(운요호 사건) 이후 강제로 체결한 근대 최초의 불평등 조약입니다. 조선은 ‘자주국’임을 명시했지만, 이는 청과의 관계를 끊고 일본의 침투 명분을 정당화하기 위한 표현이었습니다.

핵심 키워드:

  • 자주국 명시 → 청과의 종속관계 탈피 의도
  • 해안 측량권 허용 → 군사·정보 침탈 통로
  • 치외법권 부여 → 일본인의 조선 내 법적 특권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의 조약이 체결된 배경으로 옳은 것은? “조선국은 자주국이며, 일본국과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 ① 병인양요 직후 서양과의 외교 확대 ② 운요호 사건 이후 일본과의 강화도조약 체결 ③ 청의 알선으로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 ④ 임오군란 진압 후 갑신정변 발생 ➡️ 정답: ② 운요호 사건 이후 일본과의 강화도조약 체결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강화도조약(1876) 조선-일본 간 체결, 최초의 근대적 조약
불평등 조항 해안 측량권, 치외법권, 개항 요구 등
운요호 사건 일본 군함의 무단 침입 → 무력시위 유도
개항장 부산(기존), 원산·인천 추가 개항
이후 영향 조일무역규칙(무관세, 무제한 무역) 체결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청의 알선 → 치외법권 포함
  • 방곡령: 일본 상인 곡물 유출 방지 조치 → 경제적 마찰
  • 임오군란(1882): 개항 이후 불만 → 일본 공사관 습격
  • 갑신정변(1884): 급진 개화파의 일본 중심 개혁 시도

🏷 추천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기출사료 #강화도조약 #운요호사건
#조선개항 #불평등조약 #치외법권 #해안측량권 #역사블로그

✍️ 정리 한 줄 요약

강화도조약은 조선이 근대 국제 질서에 편입되면서 체결한 첫 조약으로, 일본의 무력 시위 속에서 맺은 불평등 조약이자 개항의 출발점이었습니다.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