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91 -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제헌국회와 헌법 제정의 시작

J.J.(제이제이) 2025. 4. 8. 17:39

광복의 기쁨도 잠시, 조선은 미·소 냉전의 틈바구니 속에서 남북 분단의 길을 걷게 됩니다. 결국 1948년, UN 감시 아래 남한 단독 총선이 실시되고, 그해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제헌국회의 구성, 헌법 제정, 이승만 정부의 출범 등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91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제헌국회와 헌법 제정의 시작

 


📜 기출 사료 발췌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1948년 7월 17일 공포된 ‘제헌 헌법’ 제1조입니다.
해방 후 정치적 혼란을 딛고 남한에서 민주주의 정부가 출범했음을 상징하는 조항입니다.


📍 UN 총선거 결정과 남한 단독 선거

항목 내용

배경 1947년부터 미·소 공동위원회 결렬 → 분단 가속
UN 결정 UN 임시한국위원단 파견 → 남북 총선 추진
북한의 불응 소련과 북한은 총선거 거부 → 남한 단독 선거 진행
선거 일시 1948년 5월 10일, 남한 38선 이남에서만 총선거 실시
결과 제헌국회 구성 (198석) → 헌법 제정 작업 착수

📍 대한민국 정부 수립

날짜 사건

1948.7.17 제헌 헌법 공포 – 민주공화국 체제 명문화
1948.7.20 이승만 대통령 선출 (국회 간접 선거)
1948.8.15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공식 선포
1948.9.9 북한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 → 분단 확정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헌법 조항은 언제 제정된 것인가?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이다.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① 대한민국 임시헌장
② 제헌 헌법
③ 유신 헌법
④ 6월 민주 항쟁 헌법
➡️ 정답: ② 제헌 헌법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제헌국회 총선거로 구성된 첫 입법 기관, 헌법 제정·대통령 선출 주도
제헌 헌법 대통령 중심제, 자유민주주의, 국민 주권 명시
이승만 초대 대통령, 반공·친미 성향 강화
정부 수립 의미 국제적으로 유일한 한반도 합법 정부로 UN 승인 (12월)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UN 감시 하 총선거: 남한만 참여 → 분단 현실화
  • 북한의 단독 정부 수립: 9월, 김일성 중심의 정부 구성
  • 분단 심화 배경: 냉전체제, 상호 정부 승인 거부
  • 헌법 제정과 3권분립: 입법·사법·행정부 구성의 기초 마련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기출사료 #제헌헌법 #정부수립
#이승만 #1948년 #UN총선거 #대한민국수립 #역사블로그


✍️ 정리 한 줄 요약

1948년 제헌국회와 헌법 제정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고, 이는 남북의 분단 정부 형성으로 이어지며 오늘날의 한반도 체제를 규정하게 됩니다.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