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96강 - 10·26과 12·12 : 독재의 종말과 또 다른 군부의 등장

J.J.(제이제이) 2025. 4. 19. 14:07
반응형

1979년, 박정희 대통령이 피살되면서 18년간 이어진 군사 독재가 끝나는 듯 보였습니다. 하지만 그 해 12월, 신군부 세력이 다시 쿠데타를 일으켜 권력을 장악하면서, 한국 현대사는 또 다른 군정 시기로 접어듭니다. 이번 글에서는 10·26 사건과 12·12 군사반란의 전개, 그리고 전두환 정권의 등장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살펴봅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96

10·26과 12·12 – 독재의 종말과 또 다른 군부의 등장

 


📜 기출 사료 발췌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은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피살되었다. 이후 군부 일부 세력은 계엄 상황을 틈타 병력을 동원해 군사 쿠데타를 감행하였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박정희 유신체제의 종말과 신군부의 등장이라는 역사적 전환점을 설명합니다.

  • 10·26 사건: 박정희 대통령이 최측근인 김재규 중앙정보부장에게 피살
  • 유신체제 붕괴, 정권 공백
  • 12·12 군사반란: 신군부(전두환·노태우 등) 주도, 계엄령 하에서 불법적으로 군권 장악

📍 사건 요약 정리

사건 내용

10·26 사건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피살
→ 유신체제 종결, 최규하 대통령 과도 정부 출범  
12·12 군사반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 등 하급 군부 세력이 정승화 계엄사령관 체포 → 군권 장악
실질적인 권력 장악, 사실상 쿠데타  

📍 신군부의 정권 장악

  • 1980년, 전두환 국가보위비상대책위원회 장악
  • 정치인 숙청, 계엄령 강화
  • 5·17 비상계엄 전국 확대 → 5·18 민주화운동 진압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는 어떤 역사적 사건의 경과를 설명한 것인가?
“계엄 상황을 틈타 군부 일부 세력이 병력을 동원하여 군사 쿠데타를 감행하였다.”
① 5·16 군사정변
② 10·26 사건
③ 12·12 군사반란
④ 6월 민주항쟁
➡️ 정답: ③ 12·12 군사반란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10·26 사건 유신체제 종결, 정치적 공백 발생
12·12 반란 군의 사조직(하나회)이 군사권 장악
전두환 이후 국가보위비상대책위 장악 → 대통령 직행
민간 통제 무력화 입법·사법·행정 모두 군부 주도
시민 반발 → 1980년 5월, 광주 민주화운동으로 이어짐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정승화 체포: 당시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
  • 하나회: 전두환·노태우 중심 육사 동기 중심 비선 조직
  • 최규하 대통령: 과도기 임시 대통령, 신군부에 의해 밀려남
  • 5·18 전야: 정권 찬탈 후 민주화 요구 억압 강화

 

✍️ 정리 한 줄 요약

10·26 사건은 박정희 유신 정권의 종말을 알렸지만, 12·12 군사반란은 또 다른 군부 독재의 시작이었고, 이로 인해 한국은 다시 군사 정권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