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95 - 유신체제와 경제개발 : 산업화의 그늘, 민주주의의 후퇴

J.J.(제이제이) 2025. 4. 19. 14:06
반응형

1970년대는 박정희 정권의 절정기였습니다. 한편으로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을 통해 고속 성장을 이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유신헌법’을 제정해 종신 집권 체제를 구축하며 민주주의를 크게 후퇴시켰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신체제의 성립과 내용, 그리고 그 이면에 감춰진 독재의 실상과 경제 개발 정책을 기출 사료와 함께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95

유신체제와 경제개발 – 산업화의 그늘, 민주주의의 후퇴

 


📜 기출 사료 발췌

“대통령은 통일 주체 국민회의에서 간접 선출되며, 국회를 해산할 권한을 가진다. 국가의 안녕과 질서를 위해 긴급조치를 발동할 수 있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1972년 제정된 유신헌법의 핵심 조항을 요약한 것입니다.
박정희는 3선 개헌 후에도 권력 연장을 원했고, 결국 헌법을 다시 만들어
사실상 종신 집권과 무소불위의 권력을 정당화한 것이 바로 유신체제입니다.


📍 유신체제 개요

항목 내용

배경 1971년 대선 박정희 간신 승리 → 체제 위기감
조치 국회 해산 후 계엄 선포 → 1972년 유신헌법 공포
핵심 내용  
– 대통령 6년 간접선거 (통일주체국민회의)  
국회 해산권, 긴급조치권, 헌법 개정 발의권 등 독점  
사법부 독립성 축소, 언론 통제 강화  

📍 경제개발과 산업화 정책

시기 주요 내용

1962~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시작 → 수출 중심 산업화
1970 새마을운동: 농촌 근대화 추진
중화학 공업 육성 포항제철(1973), 현대조선소(1972), 고속도로 건설 등
성과 연평균 8~10% 고도 성장 → 한강의 기적
한계 재벌 중심 경제, 노동 탄압, 지역 불균형, 민주주의 억압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헌법 조항이 시행된 시기의 정치 체제는 무엇인가?
“대통령은 통일주체국민회의에서 선출되며, 긴급조치를 발동할 수 있다.”
① 제1공화국
② 제3공화국
③ 제4공화국
④ 제6공화국
➡️ 정답: ③ 제4공화국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유신헌법(1972) 대통령 권한 극대화, 삼권분립 파괴
긴급조치 법률 없이도 대통령이 국민 기본권 제한 가능
반대 세력 탄압 김대중·재야 인사 구속, 언론 검열
10·26 사건(1979) 박정희가 중앙정보부장 김재규에 의해 피살 → 유신체제 붕괴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긴급조치 9호(1975): 모든 유신 반대 활동 금지
  • YH 사건(1979): 여성 노동자 탄압 → 부마항쟁 도화선
  • 부마민주항쟁: 유신체제 붕괴의 기폭제
  • 경제적 성과는 인정되나, 정치적 자유는 심각히 제약

 

✍️ 정리 한 줄 요약

유신체제는 박정희가 권력을 영구화하기 위해 만든 독재 체제로, 정치적 자유를 억압하는 대신 고도 경제 성장을 이뤘지만, 결국 국민의 저항에 무너지게 됩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