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92강 - 6·25 전쟁 : 분단의 비극, 전 국민이 참전한 전쟁

J.J.(제이제이) 2025. 4. 19. 14:03
반응형

1948년 남북한 각각 정부가 수립된 이후, 한반도는 냉전의 최전선으로 돌입했습니다. 1950년 6월 25일 새벽, 북한군이 기습 남침을 감행하며 한반도는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됩니다. 민족 내부의 분단이 외세의 개입과 맞물리며 국제전으로 번진 이 전쟁은 남북 모두에게 엄청난 피해를 남겼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6·25 전쟁의 발발과 전개, 정전까지의 흐름을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92

6·25 전쟁 – 분단의 비극, 전 국민이 참전한 전쟁

 


📜 기출 사료 발췌

“북한군이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38선을 넘어 전면적인 침공을 개시하였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6·25 전쟁 발발 당시의 군사 보고 내용을 요약한 것으로,
1950년 6월 25일, 북한이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아 기습적으로 전면 남침을 시작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 전쟁은 단순한 내전이 아닌 **냉전 체제 속 ‘국제전’**으로 확대되며

  • 유엔군 참전(미국 중심)
  • **중국군 개입(인민지원군)**으로
    남북 + 미국 + 중국 + UN이 모두 얽힌 전면전이 됩니다.

📍 전개 흐름 요약

시기 내용

1950.6.25 북한의 전면 남침 → 서울 3일 만에 함락
7월 낙동강 방어선까지 밀림 → 대한민국 존망 위기
9.15 인천상륙작전(맥아더) 성공 → 서울 수복, 38선 돌파
10월 북진 → 평양 점령, 압록강 진출 → 중국군 개입
1951 전선 교착 → 38선 부근 공방전 지속
1953.7.27 정전협정 체결 (판문점) → 휴전선 확정, 현재까지 전쟁은 ‘종전’ 아님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는 어떤 사건을 설명한 것인가?
“북한군이 1950년 6월 25일 새벽 4시, 38선을 넘어 전면 남침하였다.”
① 여운형 암살
② 제주 4·3 사건
③ 6·25 전쟁 발발
④ 정전협정 체결
➡️ 정답: ③ 6·25 전쟁 발발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인천상륙작전 1950.9.15. 맥아더 지휘, 전세 반전 계기
중국군 개입 10월 말부터 북한 지원 → 남한 재함락
휴전 협상 1951년부터 2년간 지속, 포로 문제 등 쟁점
정전협정 1953.7.27. 판문점에서 체결
현재 상태 전쟁 중단(정전) 상태, 종전 아님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유엔군 참전: 미국 주도, 16개국 병력 + 41개국 물자 지원
  • 김일성 책임 명확: 전면적 무력 침공
  • 남북한 피해 극심: 민간인 포함 수백만 명 사망·이산
  • 한반도 냉전 고착화: 군사분계선(휴전선) 확정, 분단 고정

 

✍️ 정리 한 줄 요약

6·25 전쟁은 북한의 기습 남침으로 시작된 전면전으로, 남북뿐 아니라 국제 세력까지 참전한 냉전 시대의 대표적 전쟁이며, 오늘날까지도 종전되지 않은 분단의 상징입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