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88강 -황국 신민화 정책 : 조선을 일본으로 만들려 한 통치

J.J.(제이제이) 2025. 4. 18. 15:05
반응형

1930년대 이후, 일제는 식민지 조선을 무력으로만 다스리는 것을 넘어, '일본인으로 만들기'라는 명분 아래 동화 정책을 강화합니다. 이를 ‘황국 신민화 정책’이라 부르며, 언어·교육·종교·생활 모든 영역에서 일본화를 강요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 황국 신민화 정책의 구체적 내용과 그에 따른 조선인의 삶의 변화, 기출 사료와 함께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88

황국 신민화 정책 – 조선을 일본으로 만들려 한 통치

 


📜 기출 사료 발췌

“조선인은 일본 황실의 충성스러운 신민으로서 황국의 군인이 되고, 일어를 쓰고, 신사를 참배하며, 천황의 은혜에 보답해야 한다.”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1937년 중일전쟁 이후 강화된 ‘황국 신민화 정책’의 핵심 강령을 요약한 것입니다.
이 정책은 조선을 일본의 내지(본국)처럼 만들기 위한 문화·사상적 지배 정책으로,
조선인의 언어, 이름, 종교, 교육, 노동, 병역까지 완전히 일본식으로 동화시키려는 시도였습니다.


📍 황국 신민화 정책 주요 내용

분야 내용

언어 조선어 사용 금지, 일어 사용 강제, 조선어 과목 폐지
교육 '황국 신민의 서사' 낭독, 충성심 교육 강화
종교 신사참배 강요 → 기독교·천도교 등 종교계와 충돌
이름 창씨개명 강요(1939) → 일본식 성과 이름 사용
병역 징병제 시행(1944) → 강제 징집 확대
노동 강제 동원(징용) → 군수 공장·광산·군위안부 동원 등

📍 추진 배경

  • 1937년 중일전쟁 발발 → 전시체제 돌입
  • 1940년대 들어 태평양전쟁 확대전 국민 전쟁 동원 필요성 증대
  • 조선인을 황국 신민으로 ‘정신적 병사’화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는 일제강점기 어떤 정책의 일환으로 볼 수 있는가?
“조선인은 일본 황실의 충성스러운 신민이 되어야 하며, 일어를 쓰고, 신사에 참배하며…”
① 산미증식계획
② 문화통치
③ 황국 신민화 정책
④ 독립협회 강령
➡️ 정답: ③ 황국 신민화 정책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내용

창씨개명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게 함 (강제 아님을 가장한 실질적 강요)
신사참배 신토(일본 고유 신앙) 강제 → 종교·양심의 자유 억압
조선어 말살 교육과 공공기관에서 사용 금지, 일어만 허용
국민 정신 총동원 전시 총력 체제 구축 → 노동·병력 동원으로 이어짐
민족 말살 통치 단순한 차별이 아닌 조선인 정체성 자체 제거 시도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국민학교 설치(1941):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 황국 신민 양성 목적
  • 내선일체: “일본과 조선은 하나”라는 허울 속 동화 전략
  • 강제 징용·징병: 수십만 조선인이 군수공장·일본 본토·남양군도 등으로 끌려감
  • 위안부 동원: 10대 여성까지 일본군 위안부로 강제 연행

 


✍️ 정리 한 줄 요약

황국 신민화 정책은 조선인을 일본화하여 정신적·문화적으로 완전히 지배하려는 식민 동화 정책으로, 조선인의 언어·이름·신앙·교육 모든 것을 통제한 대표적 민족 말살 정책이었습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