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987년은 한국 현대사에서 결정적인 분기점이었습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4·13 호헌조치로 억눌렸던 분노는 6월, ‘직선제 개헌’을 요구하는 시민들의 함성으로 터져 나왔습니다. 이 항쟁은 전국적인 민주화 운동으로 확산되었고, 결국 정권은 국민의 요구를 수용하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6월 민주항쟁의 배경, 전개, 그리고 6·29 선언을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 기출 사료 분석 시리즈 99
6월 민주항쟁과 6·29 선언 – 국민의 손으로 바꾼 민주주의
📜 기출 사료 발췌
“우리는 대통령을 국민의 손으로 직접 뽑을 권리를 요구한다. 더 이상 간선제는 안 된다. 직선제를 즉각 실시하라!”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1987년 6월 민주항쟁 당시 거리로 나온 시민들의 외침을 요약한 것입니다.
핵심 요구는 단 하나, **“대통령 직선제”**였습니다.
📍 배경 정리
항목 내용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1월) | 경찰 조사 중 사망 → 정부는 축소 은폐 |
4·13 호헌조치 (4월) | 전두환 정권, 직선제 개헌 거부 선언 → 분노 확산 |
이한열 열사 피격 (6월) | 시위 중 최루탄 맞고 쓰러짐 → 전국적 분노 촉발 |
📍 6월 민주항쟁 전개
날짜 주요 내용
6.10 국민대회 | 야 3당 및 시민단체 주도 → 전국 100만 명 동시 시위 |
6.18~26 | 전 국민 참여 → 직장인·학생·종교계 모두 동참 |
6.26 국민평화대행진 | 서울 도심 100만 명 시위 → 결정적 압박 |
📍 6·29 민주화 선언
- 1987.6.29, 당시 여당(민정당) 노태우 후보가 발표
- 국민의 요구 수용해 다음 내용 선언:
📌 6·29 선언 핵심 내용
- 대통령 직선제 개헌 수용
- 김대중 정치 활동 허용
- 언론 자유 보장
- 양심수 석방 및 인권 신장
- 지방자치제 점진 실시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구호는 어떤 역사적 운동과 관련이 있는가?
“직선제를 즉각 실시하라! 대통령은 국민이 직접 뽑는다.”
① 4·19 혁명
② 6월 민주항쟁
③ 5·18 민주화운동
④ 3·1운동
➡️ 정답: ② 6월 민주항쟁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성격 | 전국적, 평화적, 시민 중심의 민주화 운동 |
특징 | 학생·시민·직장인·종교계 전 계층 참여 |
결과 | 제6공화국 출범 기반 마련 (1987 헌법 개정) |
의의 | 국민이 헌법을 바꾸고 대통령 선거 방식을 쟁취한 사건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이한열 열사 희생: 대학생, 최루탄 피격 후 사망 → 국민적 분노
- 제6공화국 헌법 개정: 대통령 5년 단임 직선제 도입
- 노태우 당선(1987.12): 최초의 직선제 대통령 선거
- 민주화의 제도화 시작: 이후 지방자치 부활, 시민사회 성장
✍️ 정리 한 줄 요약
6월 민주항쟁은 시민의 힘으로 권위주의 정권을 압박해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쟁취한 역사적 사건으로,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습니다.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01 - 고조선과 8조법 : 고대 국가의 법과 풍속을 엿보다 (0) | 2025.04.20 |
---|---|
한능검 기출 100강 - 제6공화국의 출범과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 국민이 만든 나라 (2) | 2025.04.19 |
한능검 기출 98강 - 전두환 정권과 6월 민주항쟁의 도화선 : 통제 속에서 솟아난 민주화 열망 (0) | 2025.04.19 |
한능검 기출 97강 - 5·18 민주화운동 : 피로 지켜낸 자유의 외침 (0) | 2025.04.19 |
한능검 기출 96강 - 10·26과 12·12 : 독재의 종말과 또 다른 군부의 등장 (2)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