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현종 대에는 상복 기간을 둘러싼 예송 논쟁이 벌어지며 서인과 남인의 붕당 갈등이 본격화됩니다. 단순한 예법 문제가 아닌 정치 주도권 싸움으로, 붕당 정치의 시작점이 되었습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50강
현종 대 예송 논쟁과 붕당 정치의 심화
📌 목차
- 조선 후기 정치 배경
- 예송 논쟁의 발단과 전개
- 1차 예송(기해예송, 1659)
- 2차 예송(갑인예송, 1674)
- 붕당 정치의 구조화
-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1. 조선 후기 정치 배경
- 효종 사후 현종(재위 1659~1674) 즉위
- 조정 내에서는 서인과 남인이 경쟁 구도로 정착
- 정치 갈등은 **예(禮)**를 둘러싼 논쟁으로 표출됨
→ 예송 논쟁(禮訟) 발생
📌 예송은 단순한 예법 다툼이 아닌, 정치적 주도권 쟁탈전
2. 예송 논쟁의 발단과 전개
- 상복(喪服)의 기간과 예법의 해석을 두고 벌어진 논쟁
- 논쟁 중심: 서인 vs 남인
- 왕실의 상(喪)을 둘러싼 논리 차이로 붕당 간 갈등 격화
3. 1차 예송 – 기해예송(1659)
쟁점 내용
대상 | 효종의 사망 → 효종비가 조대비(인조 계비)에게 입을 상복 기간 |
서인 주장 | 기년복(1년) → 효종은 ‘왕세자’의 신분 |
남인 주장 | 3년복 → 효종은 ‘왕’이므로 조대비는 3년 상복 |
🔹 결과: 서인의 주장(기년복)이 채택됨
→ 서인의 정치적 우세 확립
4. 2차 예송 – 갑인예송(1674)
쟁점 내용
대상 | 효종비 사망 → 현종이 조대비에게 입을 상복 기간 |
남인 주장 | 1년복 (왕의 아들이 왕비를 위해) |
서인 주장 | 9개월복 (예법상 생모가 아님) |
🔹 결과: 남인의 주장(1년복)이 채택됨
→ 남인의 일시적 정치적 상승
📌 예송 논쟁은 정치 세력 간의 이념과 권력 다툼을 예의 이름으로 진행한 사건
5. 붕당 정치의 구조화
- 예송 논쟁 이후 붕당 간 정치·이념·인맥 분화가 심화됨
- 서인: 명분 중시, 원칙적 유교 해석
- 남인: 실용적 유교, 현실 개혁 강조
- 이후 붕당 정치는 정국의 안정과 혼란을 반복하게 됨
📌 예송은 붕당 정치의 본격적 출발점으로 평가됨
6.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기해예송(1659): 효종의 신분 → 서인 승
- 갑인예송(1674): 효종비 상복 문제 → 남인 승
- 예송은 상복 기간 논쟁을 통한 정치 주도권 싸움
- 붕당 정치의 이념 대립과 구조화
🧠 복습 퀴즈
- 예송 논쟁은 무엇을 둘러싸고 벌어진 사건인가요?
- 1차 예송과 2차 예송에서 각각 우세한 붕당은 누구였나요?
- 예송 논쟁이 조선 정치에 끼친 영향은?
- 서인과 남인의 기본적인 성향 차이는?
▶️ 다음 강 예고
📘 51강 – 숙종 대 환국 정치와 붕당 정치의 전환
- 숙종의 정국 운영 방식
- 환국의 의미와 경과
- 노론과 소론의 등장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예송논쟁 #기해예송 #갑인예송 #서인남인 #붕당정치 #현종 #조선후기 #한국사기출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시대별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52강 - 영조와 정조의 탕평 정치 (2) | 2025.04.04 |
---|---|
한능검 51강 - 숙종 대 환국 정치와 붕당 정치의 전환 (2) | 2025.04.04 |
한능검 49강 - 효종과 북벌론의 전개 (0) | 2025.04.04 |
한능검 48강- 병자호란과 조선의 굴욕 외교 (0) | 2025.04.04 |
한능검 47강 - 조선 후기 정치 변동과 서인의 집권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