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정조 사후, 어린 임금의 즉위로 인해 외척 가문이 권력을 독점하면서 세도 정치가 시작되었습니다.
삼정의 문란(전정, 군정, 환곡)은 백성의 삶을 파탄내며 전국 각지에서 민란과 저항 운동이 발생했습니다.
홍경래의 난과 임술 농민 봉기는 이러한 사회 불안의 대표적인 결과로, 조선 후기 체제 붕괴의 전조가 되었습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53강
세도 정치와 조선 후기의 사회 변화
📌 목차
- 세도 정치의 시작과 전개
- 세도 정치의 특징과 폐단
- 삼정의 문란과 백성의 삶
- 민란과 사회적 저항의 확대
-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1. 세도 정치의 시작과 전개
정조 사후 **순조가 즉위(1800)**하며, 어린 왕을 대신해 외척인 안동 김씨 가문이 정국 주도권을 장악하면서 세도 정치가 시작됩니다. 이 체제는 헌종, 철종까지 이어졌으며 왕권은 계속 약화되고 붕당 정치도 사실상 마비됩니다.
2. 세도 정치의 특징과 폐단
특징 내용
과거제 장악 | 특정 가문 독점, 인재 등용 불공정 |
매관매직 | 관직 매매 성행 → 행정 타락 |
지방 행정 혼란 | 수령의 횡포, 백성 수탈 |
왕권 약화 | 국정 책임 실종 |
📌 세도 정치의 폐단은 조선 사회를 내부에서부터 흔들었습니다.
3. 삼정의 문란과 백성의 삶
- 전정: 토지세 부과의 불공정 (허위 토지 등록 등)
- 군정: 군포 징수에서 대리 납부 악용 → 백성 부담 증가
- 환곡: 구휼이 아닌 고리대금화 → 빈곤층 파탄
📌 삼정의 문란은 농민의 삶을 파괴하고 폭발적 민중 저항의 배경이 되었습니다.
4. 민란과 사회적 저항의 확대
민란 연도 특징
홍경래의 난 | 1811 | 평안도 차별에 대한 무장 봉기 (양반 + 농민 연합) |
임술 농민 봉기 | 1862 | 진주에서 시작 → 전국 확산, 삼정 문란 항의 |
📌 민란은 조선 후기 체제 붕괴의 징후이자 개혁의 신호탄이었습니다.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세도 정치: 순조~철종, 외척 권력 독점
- 삼정 문란: 전정·군정·환곡
- 대표 민란: 홍경래의 난, 임술 농민 봉기
- 체제 불신과 사회 불안 확대
🧠 복습 퀴즈
- 세도 정치가 시작된 배경은 무엇인가요?
- 삼정의 문란이 농민에게 끼친 피해는?
- 홍경래의 난과 임술 농민 봉기의 차이점은?
- 세도 정치기 조선 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은?
▶️ 다음 강 예고
📘 54강 –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와 조선의 변화
- 왕권 강화와 세도 정치 타파
- 군제 개편과 서원 철폐
- 통상 수교 거부 정책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세도정치 #삼정문란 #홍경래의난 #임술농민봉기 #조선후기정치 #민란 #한국사기출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시대별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55강 - 강화도 조약과 개항기의 시작 (0) | 2025.04.07 |
---|---|
한능검 54강 - 흥선 대원군의 개혁 정치와 조선의 변화 (2) | 2025.04.07 |
한능검 52강 - 영조와 정조의 탕평 정치 (2) | 2025.04.04 |
한능검 51강 - 숙종 대 환국 정치와 붕당 정치의 전환 (2) | 2025.04.04 |
한능검 50강 - 현종 대 예송 논쟁과 붕당 정치의 심화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