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박정희 사망 이후 혼란 속에서 전두환이 군사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하며
제5공화국이 수립됩니다. 이 시기 5·18민주화운동의 유혈 진압과
장기 군사정권에 대한 국민의 분노는 1987년 6월 민주항쟁으로 폭발하게 됩니다.
결국 국민의 요구에 따라 직선제 개헌이 수용되며
대한민국 민주주의는 중대한 전환점을 맞게 됩니다.
📘 한국사능력검정 고급 강의록 73강
전두환 정권과 6월 민주항쟁
📌 목차
- 전두환의 집권과 제5공화국
- 5·18민주화운동
- 장기 군사통치와 국민 저항
- 6월 민주항쟁과 직선제 쟁취
-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다음 강 예고
1. 전두환의 집권과 제5공화국
연도 내용
1979.12.12 | 12·12 군사 반란 → 전두환 계엄령 확대 |
1980.5.17 | 전국 비상계엄 → 국회 해산, 언론 통제 |
1981 | 대통령 간선제로 제5공화국 출범 |
정치·사회 통제 강화, 삼청교육대 등 인권 문제 대두 |
📌 군사 반란과 권위주의 체제 강화로 민주주의 후퇴
2. 5·18민주화운동
- 1980.5.18, 광주에서 계엄령 철폐·민주 정부 수립 요구 시위
- 전두환 정권, 계엄군 투입 → 무력 진압
- 수백 명 사망, 수천 명 부상 → 역사적 참극
- 이후 민주화운동의 상징으로 자리 잡음
📌 5·18은 국민 주권을 지키려 한 위대한 저항
3. 장기 군사통치와 국민 저항
내용 예시
정치적 억압 | 언론 통제, 야당 탄압, 시국 사건 조작 |
사회적 불만 | 부정축재, 고문사건, 교육 탄압 |
저항 확산 | 학생·재야·종교계 중심의 민주화 운동 |
📌 국민은 점차 공개적이고 전국적인 저항으로 맞섰음
4. 6월 민주항쟁과 직선제 쟁취
- 1987년 6월,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 국민 분노 폭발
- 서울·전국 대규모 시위 확산 (약 500만 명 참여)
- ‘호헌철폐·직선제 개헌’ 요구
- 6·29선언(노태우): 대통령 직선제 수용, 민주 개헌 약속
- → 1987년 10월 개헌, 12월 직선제 실시
📌 6월 민주항쟁은 군사정권 종식과 헌정질서 회복의 전환점
5. 기출 포인트 & 복습 퀴즈
🎯 기출 포인트
- 12·12사태(1979): 군부 실권 장악
- 5·18민주화운동(1980): 광주항쟁, 계엄군 진압
- 6월 민주항쟁(1987): 직선제 쟁취, 국민 주도
- 6·29선언: 개헌 수용, 민주 헌법 제정
🧠 복습 퀴즈
- 전두환 정권이 집권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 5·18민주화운동은 어떤 배경에서 발생했나요?
- 6월 민주항쟁이 어떤 정치적 성과를 이루었나요?
- 6·29선언이 민주주의 발전에 미친 영향은?
▶️ 다음 강 예고
📘 74강 – 민주주의의 진전과 현대 한국 사회의 변화
- 문민정부 수립과 권위주의 청산
- IMF와 경제 위기 극복
- 시민 사회와 문화의 다양화
🏷️ 해시태그
#한국사능력검정시험 #한능검고급 #전두환정권 #512쿠데타 #518민주화운동 #6월민주항쟁 #629선언 #직선제개헌 #한국사기출
반응형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시대별 요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 시대별 핵심 키워드 정리 (1강~74강) (0) | 2025.04.07 |
---|---|
한능검 74강(끝) - 민주주의의 진전과 현대 한국 사회의 변화 (0) | 2025.04.07 |
한능검 72강 - 전후 복구와 산업화, 민주화의 길 (0) | 2025.04.07 |
한능검 71강 -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6·25전쟁의 발발 (0) | 2025.04.07 |
한능검 70강 - 광복과 분단, 미·소 군정의 시작 (0)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