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하인드 한국사 #45
독립운동가들의 내부 갈등 사례들
1. 독립운동, 단결만이 아니었다
한국 독립운동은 일제의 압제에 맞서 민족의 자유와 자주를 위해 싸웠던 위대한 역사입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는 서로 다른 노선, 이념, 전략, 그리고 인물 간의 갈등과 분열이 끊이지 않았습니다.
이 갈등은 때로는 조직의 와해, 때로는 비극적 사건으로 이어졌고, 해방 후 분단과 혼란의 씨앗이 되기도 했습니다.

2. 임시정부와 독립운동 진영의 노선 대립
1) 임시정부 내 노선 갈등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독립운동의 구심점이었지만, 내부적으로 외교 중심 노선과 무장투쟁 노선, 사회주의와 민족주의, 개혁과 보수 등 다양한 갈등이 존재했습니다.
- 이승만 vs 이동휘, 신채호
이승만은 외교를 통한 독립(외교독립론)을 주장했고, 이동휘·신채호 등은 무장투쟁과 사회주의적 방법을 선호했습니다.
이동휘는 이승만의 노선에 반대해 총리직을 사임했고, 신채호도 임시정부를 이탈했습니다.
이승만은 임시정부의 혼란을 수습하지 못하자 미국으로 떠나기도 했습니다.
2) 국민대표회의 분열
1923년 임시정부는 조직 재정비를 위해 국민대표회의를 개최했으나,
- 창조파는 임시정부 해체와 재건을,
- 개조파는 임시정부 개혁을 주장하며 대립했습니다.
결국 합의에 실패했고, 김구는 회의를 해산시켰습니다.
3. 자금, 신뢰, 암살로 이어진 갈등
1) 레닌 군자금 사건
1921년 임시정부는 소련 레닌으로부터 100만 루블의 군자금 지원을 약속받았으나,
이동휘가 40만 루블을 수령한 뒤 임시정부에 자금을 보내지 않아 논란이 일었습니다.
김구는 이 자금을 둘러싼 사회주의 세력과의 갈등 끝에 김립을 암살하고, 이동휘 등 사회주의 계열을 임시정부에서 추방했습니다.
4. 독립군 부대의 분열과 비극
1) 자유시 참변
1921년 러시아 자유시(스보보드니)에서
독립군 부대들이 통합을 시도했으나,
지휘권과 노선 문제로 내분이 발생해
수천 명의 독립군이 희생당하는 ‘자유시 참변’이 일어났습니다.
홍범도, 김좌진 등 일부는 화를 피했지만,
대한독립군단 총재 서일은 책임을 지고 자결했습니다.
5. 1930~40년대, 통합과 분열의 반복
1) 남목청 사건
1938년, 중일전쟁을 계기로
한국광복운동연합회 소속 3당(한국국민당, 한국독립당, 조선혁명당)이 통합 논의를 벌이던 중,
조선혁명당 간부 이운한이 회의장에 뛰어들어 권총을 발사하는 ‘남목청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이는 독립운동 세력 간 갈등이 극단적으로 표출된 사례입니다.
2) 단체 난립과 이념 분열
임시정부 외에도 수많은 독립운동 단체가 난립했습니다.
- 독립의군부, 대한광복회, 조선국민회, 한국광복군, 조선독립동맹 등
이념, 지역, 전략의 차이로 통합이 어려웠고,
해방 후 극심한 혼란과 분단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6. 해방 직후, 좌우 갈등과 암살
1) 김구와 이승만, 한민당의 갈등
해방 후, 김구와 이승만은 민족통합을 위해 협력했으나,
- 한민당 등 우익 내에서도 임정 계승, 단독정부 수립, 남북협상 등 노선을 두고 갈등이 심했습니다.
- 김구가 남북협상에 나서자 신익희, 조소앙 등도 만류했으나, 김구는 자신의 신념을 관철했습니다.
2) 장덕수 암살과 우익 분열
1947년 한민당의 장덕수가 암살당하자,
김구와 이승만의 관계는 완전히 결별로 치달았습니다.
이후 김구는 좌파의 통일전선 전술에 이용당했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7. 독립운동 내부 갈등의 원인
- 이념과 노선의 차이: 외교 vs 무장, 민족주의 vs 사회주의
- 지역과 파벌: 상하이, 만주, 연해주, 국내 등 각지의 조직과 인맥
- 자금과 권력: 군자금, 무기, 지휘권, 대표성 등 실질적 이해관계
- 해방 후 정치적 야망: 해방 이후 주도권 다툼과 정권 장악 경쟁
8. 결론: 위대한 독립운동, 그러나 인간적 한계
한국 독립운동은 숭고한 희생과 헌신의 역사이지만,
그 이면에는 인간적 한계와 갈등, 분열이 존재했습니다.
이 갈등은 독립운동의 효율성과 통합을 저해했고,
해방 후 분단과 혼란의 배경이 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갈등 속에서도
-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은 조국의 자유와 민족의 미래를 위해
- 목숨을 걸고 싸웠으며,
- 오늘의 대한민국이 존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습니다.
우리는 독립운동의 영광뿐 아니라
그 이면의 갈등과 비극도 함께 기억해야
역사의 교훈을 제대로 배울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 국가보훈부, 「독립운동가 자료실」
- 독립기념관, 「한국 독립운동사, 비극과 갈등의 기록」
- 충청타임즈, 「독립운동 세력 간 갈등의 현장」
- 미래한국 Weekly, 「독립운동의 두 거인, 우남과 백범 바로보기」
- 네이버 블로그, 「임시정부의 형성과 통합, 갈등」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비하인드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하인드 한국사 #47 : 조선 왕실 사관들의 기록 방식과 왕들의 반응 (1) | 2025.05.24 |
---|---|
비하인드 한국사 #46 : 한국 최초 근대식 병원의 설립 과정 논란 (4) | 2025.05.23 |
비하인드 한국사 #44 : 갑오개혁 당시 내부 반발과 실패 원인 (0) | 2025.05.23 |
비하인드 한국사 #43 : 조선 불교 억압 정책 속 승려들의 저항 이야기 (4) | 2025.05.22 |
비하인드 한국사 #42 : 명나라와 조선 초기 외교 관계 속 갈등 사례 (2) | 2025.05.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