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09 - 신라의 골품제 : 정치와 사회를 지배한 폐쇄적 신분 질서

J.J.(제이제이) 2025. 4. 20. 16:24
반응형

이번에는 신라의 골품제와 신분제 사회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삼국 중에서도 신라는 독특하고 엄격한 신분제도인 ‘골품제’를 통해
정치·사회·문화 전반을 통제했습니다.
왕이 될 수 있는 신분부터, 입을 수 있는 옷과 살 수 있는 집의 크기까지 제한된 이 제도는
신라의 통치 체제는 물론 사회적 긴장과 변화의 배경이 되기도 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골품제의 구조와 한계를 보여주는 사료를 중심으로 신라 사회를 조명합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09 

신라의 골품제 – 정치와 사회를 지배한 폐쇄적 신분 질서

 


📜 기출 사료 발췌

“신라는 왕족과 귀족을 구분하여 진골과 육두품으로 나누었고, 그에 따라 관직 승진과 의복, 거주지 등이 정해졌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육두품은 대대로 학문과 외교에 능하였지만, 왕위 계승과 고위 관직에는 오르지 못하였다.”
– 《삼국유사》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는 신라의 골품제라는 신분제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기록입니다.
골품제는 출신 가문(혈통)에 따라 사회적 지위가 정해지는 제도로,
개인의 능력보다는 가문에 따라 정치 참여, 생활 수준, 승진 한계가 정해졌습니다.

  • 진골: 왕족 계통 → 왕위 계승 가능
  • 육두품: 고위 귀족이지만 진골에 미치지 못함 → 관직 제한
  • 5두품 이하: 중·하급 관료, 평민 수준

📍 골품제 구조 요약

골품 특징 관직 제한

성골 폐지됨 (진덕여왕 이후) 왕위 전용 → 이후 진골 왕위 독점
진골 최고 권력층 → 왕위 계승 가능 상대등, 집사부 장관 등
육두품 유학자·승려·외교관 다수 집사부 장관 불가, 6두품 이상 승진 불가
5두품 이하 일반 관료·지방 세력 중하위 관직만 가능

📍 골품제의 영향

  • 정치 권력 독점: 진골 중심으로 관직 편중
  • 개인의 노력 한계: 신분에 따른 한계 고정
  • 지식층 불만 증가: 육두품의 좌절 → 신라 말 유학자·개혁사상가 등장
  • 왕권과 귀족의 긴장: 진골 간 왕위 다툼 → 중앙 권력 불안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신분 제도는 무엇인가?
“신라에서 관직 승진, 의복, 주거, 왕위 계승 등이 혈통에 따라 결정되었다.”
① 골품제
② 향도
③ 부병제
④ 연좌제
➡️ 정답: ① 골품제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신라 유교 확산 6두품 지식인(설총, 최치원 등)이 유학 중심 교육 확산
불교 역할 신분 간 갈등 일부 완화, 정신적 통합 시도
6두품의 한계 문벌 귀족과 진골 중심 체제에 도전 불가
진골 왕위 독점기 성골 소멸 이후 → 문무왕 이후 진골 전성기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설총: 6두품, 화왕계 저술 → 정치 충언
  • 최치원: 6두품, 빈공과 합격 → 개혁안 제출
  • 골품의 폐쇄성: 신라의 융통성 부족 → 신라 하대 혼란 원인 중 하나
  • 신라 말기: 진골 간 왕위 다툼, 6두품 불만 → 후삼국 분열의 씨앗

 

✍️ 정리 한 줄 요약

신라의 골품제는 혈통 중심의 신분제도로, 왕권과 정치 구조를 결정지은 핵심 요소였지만, 후기로 갈수록 경직성과 불만이 쌓이며 사회 변화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 다음 10편에서는 삼국의 불교 문화와 탑, 고분 등 고대 문화의 특징을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