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07 -삼국의 패권 경쟁 : 한강 유역과 관산성 전투의 사료들

J.J.(제이제이) 2025. 4. 20. 16:21
반응형

삼국은 각각의 전성기를 거치면서 끊임없는 전쟁과 외교 전략으로 한반도 패권을 놓고 경쟁했습니다.
특히 한강 유역은 군사·경제적으로 핵심 지역이었고, 이를 둘러싼 쟁탈전은 삼국의 운명을 바꾸는 결정적인 전쟁들로 이어졌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한강 유역 쟁탈전’, ‘나제동맹’, ‘관산성 전투’ 등의 핵심 전투와 사료를 중심으로 삼국 간 세력 다툼을 정리합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07 

삼국의 패권 경쟁 – 한강 유역과 관산성 전투의 사료들

 


📜 기출 사료 발췌

“진흥왕은 백제 성왕과 동맹을 맺고 고구려를 공격하여 한강 하류를 차지하였다. 그러나 곧 약속을 어기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강 전역을 차지하였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성왕은 크게 노하여 군사를 일으켜 신라를 치다가 관산성에서 전사하였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6세기 중엽 신라와 백제가 한강 유역을 두고 벌인 격렬한 외교적·군사적 경쟁을 잘 보여줍니다.

  • 나제동맹 → 한강 하류 공략 성공
  • 하지만 신라의 배신 → 백제 공격 → 관산성 전투에서 성왕 전사
  • 이후 신라는 한강 유역 완전 장악 → 삼국 중 주도권 확보

📍 주요 사건 정리

사건 시기 설명

나제동맹 체결 433년 신라 눌지왕 – 백제 비유왕, 고구려 견제 목적
한강 하류 점령 551년경 진흥왕 + 성왕 연합 → 고구려로부터 하류 확보
신라의 배신 553년경 진흥왕이 백제를 기습 공격, 한강 상류도 점령
관산성 전투 554년 성왕이 복수 위해 공격 → 성왕 전사, 백제 대패
결과 신라가 한강 전역 확보 → 교통·경제 요충지 차지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중 ‘관산성 전투’와 관련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고구려가 한강을 장악한 사건이다.
② 신라가 백제의 공격을 받아 수도를 잃은 사건이다.
③ 백제 성왕이 신라 진흥왕과 싸우다 전사한 사건이다.
④ 백제와 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를 멸망시킨 사건이다.
➡️ 정답: ③


💡 확장 개념 정리

항목 설명

한강 유역 중요성 물자 이동, 군사 방어, 농업 중심지
나제동맹의 파기 외교적 배신 사례 → 삼국 관계 악화
관산성 전투 의미 백제의 왕이 직접 전투에 나선 드문 사례
신라의 외교 전략 협력 → 기습 전환 → 영토 확보 → 삼국 주도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진흥왕 순수비 건립 → 한강 장악 기념
  • 성왕의 천도(웅진 → 사비) → 국가 재건 노력
  • 삼국의 전쟁 구도: 고구려 vs 백제·신라 → 신라 vs 백제 전환
  • 고구려의 견제 실패 → 남쪽 주도권 상실

 

✍️ 정리 한 줄 요약

한강 유역을 둘러싼 삼국의 전쟁은 신라가 백제와의 동맹을 배신하고 주도권을 차지하게 만든 계기이며, 관산성 전투는 성왕의 전사로 이어지며 백제의 쇠퇴를 가속화시켰습니다.


📘다음 8편에서는 삼국의 통치 제도 정비와 율령 체제, 귀족 회의 등 삼국의 정치 구조를 사료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