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은 중앙집권 국가로 발전하면서 법과 제도를 갖추고 정치 체계를 정비했습니다.
왕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관등제·율령을 정비하고, 귀족을 관리하기 위한 회의체를 운영했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고구려의 ‘제가 회의’, 백제의 ‘정사암 회의’, 신라의 ‘화백 회의’ 등
삼국 정치 제도를 보여주는 대표 사료들을 통해 삼국의 통치 구조를 분석합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08
삼국의 정치 제도 – 왕권과 귀족이 맞선 구조
📜 기출 사료 발췌
“고구려는 제가들이 국정을 논의하며, 중요한 일은 대대로의 승인을 받아 결정하였다.”
–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백제는 정사암 앞에 신하들이 모여 나라의 중요한 일을 의논하였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신라는 국정의 중요한 일은 화백회의에서 만장일치로 결정하였으며, 왕의 폐위조차 가능하였다.”
– 《삼국사기》 신라본기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삼국의 귀족 합의 정치 구조를 보여주는 핵심적인 내용입니다.
- 고구려: 5부 중심의 제가 귀족 체제
- 백제: 정사암 회의 → 중앙 귀족 중심 정치
- 신라: 화백 회의 → 만장일치 원칙, 심지어 왕 폐위 가능
이는 초기 삼국의 정치가 왕 중심이 아닌 귀족 합의 구조였음을 보여주며,
이러한 귀족 회의 체제는 왕권 강화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했습니다.
📍 삼국의 통치 제도 비교
구분 고구려 백제 신라
회의 기구 | 제가 회의 | 정사암 회의 | 화백 회의 |
정치 중심 | 5부 귀족 | 중앙 귀족 | 6부 귀족 |
율령 반포 | 소수림왕 | 고이왕 | 법흥왕 |
왕권과 귀족 관계 | 귀족 세력 강함 → 대대로 영향력 큼 | 귀족 합의 강조 | 만장일치 원칙 → 왕권 제약 |
📍 제도 정비의 의의
- 율령 반포: 법에 의한 통치 기반 마련
- 관등제 도입: 관료제 운영, 지배층 정비
- 귀족 회의 운영: 초기 연맹왕국적 성격 반영
- → 이후 왕권 강화로 점차 약화되거나 형식화됨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삼국의 정치 회의 기구는 무엇인가?
“만장일치로 결정을 내렸으며, 왕의 폐위도 가능하였다.”
① 정사암 회의
② 화백 회의
③ 제가 회의
④ 도병마사
➡️ 정답: ② 화백 회의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율령 | 국가 통치의 표준화, 왕권 정당화 도구 |
관등제 | 관료 계층 서열화 → 행정 운영 체계화 |
회의체 제도 | 초기 귀족 합의 기반 → 점차 왕권 강화로 무력화 |
대대로 | 고구려 귀족 최고 직책 → 정치·군사권 보유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골품제(신라) → 관등 진출 제한, 정치 참여 제한 제도화
- 대가(고구려) → 지역 귀족, 왕과 유사한 영향력
- 백제의 관복제 → 색깔로 관등 구분 → 왕권 상징 강화
- 화백 회의의 한계 → 긴급한 의사결정 지연, 귀족 반란 가능성
✍️ 정리 한 줄 요약
삼국은 귀족 합의 중심의 정치 구조에서 출발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법과 제도를 정비해 왕권 강화를 시도했지만, 초기에는 귀족 회의 기구가 왕권을 제약하는 큰 힘을 가졌습니다.
📘 9편에서는 신라의 골품제와 통치 제한 구조, 그리고 계급 사회의 모습과 사료들을 정리합니다.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10 - 삼국의 불교 문화와 예술 : 사찰과 탑, 무덤이 전하는 고대 미학 (0) | 2025.04.20 |
---|---|
한능검 기출 사료 109 - 신라의 골품제 : 정치와 사회를 지배한 폐쇄적 신분 질서 (4) | 2025.04.20 |
한능검 기출 사료 107 -삼국의 패권 경쟁 : 한강 유역과 관산성 전투의 사료들 (0) | 2025.04.20 |
한능검 기출 사료 106 - 삼국의 전성기 : 정복 군주의 사료로 읽는 영토 확장 (2) | 2025.04.20 |
한능검 기출 사료 105 - 삼국의 불교 수용과 율령 반포 : 왕권 강화를 위한 이념의 선택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