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에는 고려 성종의 유교 정치와 통치 체제 정비,특히 최승로의 시무 28조, 중앙 집권 강화, 지방 행정 정비를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광종의 개혁으로 왕권이 강화된 이후, 성종은 이를 바탕으로
유교 정치 이념에 따른 체계적인 국가 운영에 나섭니다.
특히 최승로가 올린 ‘시무 28조’는 고려 유교 정치를 이끄는 기본 지침이 되었고,
지방 제도 정비와 교육 제도 도입 등 여러 개혁으로 중앙집권 체제를 완성해갔습니다.
이번 편에서는 고려 성종의 유교 정치 개혁을 대표 사료들과 함께 살펴봅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19
고려 성종의 유교 정치 – 시무 28조로 다져진 통치 질서
📜 기출 사료 발췌
“신 최승로는 왕에게 올리길, 불교만을 숭상하면 나라가 위태롭고, 유학을 숭상하여 인재를 기르며 예로써 다스려야 한다 하였습니다.”
– 《고려사》 성종세가
“왕은 12목에 지방관을 파견하고, 향리와 서리를 두어 지방 행정을 맡기게 하였다.”
– 《고려사》 지리지
“경학을 권장하고, 국자감을 설치하여 유학 교육을 널리 하였다.”
– 《고려사》 교육지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성종이 유교 이념을 바탕으로 중앙 행정과 지방 통치를 정비하고,
교육 제도를 통해 관료를 양성하려 했던 정책 방향을 보여줍니다.
- 시무 28조: 최승로의 건의 → 유교 중심 개혁안
- 12목 설치 + 지방관 파견: 중앙 집권 실현
- 국자감 설립: 관학 교육 강화 → 신진 관료 육성
📍 고려 성종의 주요 개혁 요약
정책 내용 목적
시무 28조 | 최승로 건의, 유교 정치 강조 | 도덕적 통치, 불교 억제 |
12목 설치 | 지방에 목(행정구역) 설치, 최초의 지방관 파견 | 지방 통제 강화 |
국자감 설치 | 국가 최고 교육 기관 | 관료 양성, 유교 이념 확산 |
향리·서리 제도화 | 지방 행정 실무 담당자 제도화 | 행정 효율화 |
📍 시무 28조 핵심 취지
- 유교 정치 이념 강화: 도덕적 왕도 정치 강조
- 불교 사원 축소 권고: 지나친 불교의 폐단 비판
- 관료 중심 행정 체제 구축
- 지방관 파견 및 행정 조직 정비 건의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사료에서 알 수 있는 고려 성종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지방에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으며, 향리와 서리를 두었다.”
① 전시과 제도를 마련하였다.
② 음서제를 폐지하였다.
③ 지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④ 과거제를 처음 실시하였다.
➡️ 정답: ③ 지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최승로 | 신라 6두품 출신, 유학자 → 고려 유교 정치 설계자 |
목 | 지방 행정 단위 → 이후 5도 양계 체제의 기초 |
국자감 | 중앙 관학의 중심 → 유교적 관료 양성 |
향리 | 지방 세력 포섭 → 실무 행정 담당 |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광종 개혁 기반 위에 실용 정비한 성종
- 중앙집권 완성의 발판: 지방관제·관학·문산계 체제 정립
- 관학 중심 교육 강화 → 과거제 정착의 토대
- 지방 세력 통제 + 행정 효율 두 마리 토끼 노림
✍️ 정리 한 줄 요약
고려 성종은 최승로의 시무 28조를 수용해 유교 중심의 국가 체제를 정비하고, 지방관 파견과 교육제도 확립을 통해 중앙집권 체제를 공고히 하였습니다.
📘 다음 120편에서는 문벌귀족 사회의 형성과 귀족 중심 정치 구조, 음서·공음전 제도에 대한 사료들을 정리해드릴게요.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 📂 한능검 기출 사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능검 기출 사료 121 - 문벌귀족 사회의 균열 :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4) | 2025.04.22 |
---|---|
한능검 기출 사료 120 - 문벌귀족 사회의 형성 : 혈통과 권력이 지배하던 고려 중기 (1) | 2025.04.21 |
한능검 기출 사료 118 - 광종의 개혁 : 왕권을 세우고 귀족을 누르다 (0) | 2025.04.21 |
한능검 기출 사료 117 - 고려 태조의 통치 기반 : 호족을 품고, 북진을 꿈꾸다 (0) | 2025.04.21 |
한능검 기출 사료 116 - 후삼국의 성립과 고려의 등장 : 무너지는 신라, 떠오르는 새 왕조 (0) | 2025.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