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21 - 문벌귀족 사회의 균열 :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J.J.(제이제이) 2025. 4. 22. 21:33
반응형


📘 이번에는 문벌귀족 사회의 모순과 결과,특히 이자겸의 난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을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고려 중기에 들어 문벌귀족들은 정치를 독점하며 사적 권력을 키워갔습니다.
그러나 지나친 권력 집중은 내부 분열과 사회적 긴장으로 이어졌고,
결국 내부 반란과 개혁 요구로 표출되었습니다.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은 그러한 갈등이 폭발한 대표적 사건입니다.
이번 편에서는 이 두 사건을 사료 중심으로 살펴보고, 문벌귀족 체제의 한계를 이해해봅니다.


📘 한능검 기출 사료 121 

문벌귀족 사회의 균열 – 이자겸의 난과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 기출 사료 발췌

“이자겸은 외척이 되어 국정을 장악하고, 두 딸을 왕비로 들이면서 권력을 독점하였다.”
– 《고려사》 이자겸 열전

“묘청은 서경 천도를 주장하며 궁궐을 지었고, 왕에게 상소를 올려 천도와 금나라 정벌을 청하였다.”
– 《삼국사기》 묘청 열전

“김부식이 이끄는 관군이 서경 반란군을 진압하였고, 묘청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 《고려사절요》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고려 중기 문벌귀족 간의 권력 투쟁
신진 세력의 개혁 운동이 각각 어떤 모습으로 전개되었는지를 보여줍니다.

  • 이자겸: 외척으로 왕권 위협 → 인종과의 대립
  • 묘청: 신진 세력 + 풍수사상 + 자주성 강조 → 개혁적 반란
  • 김부식: 유교적 보수 세력 → 개혁 억제

📍 두 사건 비교

사건 주도 세력 목적 결과

이자겸의 난 (1126) 문벌귀족(이자겸) 외척 권력 강화, 왕권 장악 진압 → 문벌귀족 분열
묘청의 서경운동 (1135) 서경 관료 + 승려 묘청 서경 천도, 금 정벌, 자주성 회복 김부식 진압 → 개혁 실패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중 묘청이 일으킨 서경 천도 운동의 성격으로 적절한 것은?
① 문벌귀족의 왕권 장악 시도
② 신흥 세력의 자주적 개혁 운동
③ 금나라와의 화친 요구
④ 무신의 정변으로 인한 군사 정권 수립
➡️ 정답: ②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이자겸 외척 + 재상 → 정치 독점 시도
인종 왕권 강화 의지 → 이자겸 제거 시도
묘청 풍수지리학자 + 유학자, 서경 중시
서경천도 자주적 이상 정치 실현 시도
김부식 유교적 합리주의자, <삼국사기> 저술자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문벌귀족 사회의 문제: 권력 독점, 세습, 정치 폐쇄성
  • 신진 세력의 반발: 지방관료, 승려, 유학자들의 개혁 요구
  • 개혁 실패 → 이후 **무신 정변(1170)**의 배경 축적
  • 자주론 vs 사대론 대립 구도 형성

 

 

✍️ 정리 한 줄 요약

이자겸의 난은 문벌귀족의 권력투쟁이고, 묘청의 서경천도운동은 자주적인 개혁운동이었으나
모두 실패로 끝나면서 고려 사회의 내부 모순을 더욱 심화시켰습니다.


📘다음 122편에서는 무신정변과 무신정권의 수립, 그리고 최씨 정권과 사회 변화를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 22편도 바로 시작할까요? 😊

반응형

관련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