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이야기와
마음 속 꽃이 함께 피는 공간

🏛 역사 톺아보기(한국사 공부방)/📂 한능검 기출 사료

한능검 기출 사료 154 - 무단통치와 3·1운동 : 침묵을 깬 민족의 외침

J.J.(제이제이) 2025. 4. 25. 23:34
반응형

1910년 한일병합 이후, 일제는 조선을 군사력과 경찰력으로 억압하는
‘무단통치’를 실시하며 민족의 모든 자유를 말살했습니다.
그러나 1919년, 고종의 서거와 파리강화회의 소식에 자극받은
조선 민중은 전례 없는 대규모 독립 만세 시위,
‘3·1운동’을 전개하며 식민지 억압에 저항하게 됩니다.
이번 편에서는 무단통치기의 특징과
3·1운동의 전개 과정을 기출 사료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한능검 기출 사료 154

무단통치와 3·1운동 – 침묵을 깬 민족의 외침

 


📜 기출 사료 발췌

“조선인은 헌병경찰의 감시 아래,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를 박탈당했다.”
– 《조선총독부 보고서》

“우리는 자에 민족 자존의 의지를 밝히며,
조선은 독립국임을 선언한다.”
– 《기미독립선언서》

“평화적 시위는 군대와 경찰에 의해 유혈 사태로 번졌고,
수천 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 《3·1운동 관련 외신 보도》


🧠 해석 및 의미

이 사료들은 1910년대 조선이 일본의 군사적 억압 하에
기본권을 상실한 식민지로 전락했고
,
이에 맞선 최초의 전국적 항일 운동인 3·1운동이
민족 저항의 분기점이 되었음을 보여줍니다.

  • 무단통치기(1910~1919)
    • 총독: 일본 군인 출신 / 입법·행정·사법권 독점
    • 헌병 경찰제: 무장 경찰 → 언론·출판·집회 금지
    • 태형령(1912): 조선인만 대상, 공개적 태형 형벌
  • 3·1운동(1919.3.1)
    • 배경: 고종 서거(1.21), 파리강화회의 민족자결주의 영향
    • 주도: 민족대표 33인(천도교·기독교·불교계 인사)
    • 확산: 학생 → 도시 → 농촌 전국 확산
    • 결과: 일제 탄압 (사망자 약 7,500명) → 문화통치 전환 계기

📍 무단통치와 3·1운동 비교 요약

항목 무단통치기 3·1운동

통치 방식 헌병경찰제, 태형령, 언론통제 평화적 만세 운동 → 유혈 진압
주요 특징 무력 중심 통치 / 군인 총독 / 민권 말살 민족자결권 주장 / 전국 확산
대표 인물 데라우치(총독) 손병희, 이승훈, 한용운 등
결과 억압 강화 → 민족의식 누적 문화통치 전환 / 임시정부 수립 계기

📝 기출문제 예시

[문제] 다음 선언서에 담긴 사상의 핵심은 무엇인가?
“우리는 민족의 자존과 독립을 선언하며,
이 요구는 세계 평화와 정의에 부합하는 것이다.”
① 군사동맹 체결
② 왕정 복고 추진
③ 민족 자결권에 기반한 독립 선언
④ 일제와의 협력 요구
➡️ 정답: ③ 민족 자결권에 기반한 독립 선언


💡 확장 개념 정리

개념 설명

태형령 조선인에만 적용 / 인권 침해 대표 사례
기미독립선언서 민족대표 33인 발표 / 유학생판은 이승만 주도
유관순 열사 천안 아우내 장터 시위 / 3·1운동의 상징
대한민국 임시정부 3·1운동의 결과로 상하이에 수립(1919.4)
문화통치 표면적 유화 정책 / 실상은 차별 통치 유지

🧩 이와 함께 기억할 개념들

  • 일제 통치의 변화: 무단통치 → 문화통치 → 민족말살통치
  • 민중의 주체화: 학생, 농민, 상인 등 광범위한 참여
  • 3·1운동의 세계적 파급: 해외 교포·언론 반응 활발
  • 근대 민족운동의 획기점: 무장 투쟁·외교 운동·교육 운동 등 확산

 

✍️ 정리 한 줄 요약

무단통치기 동안 억눌렸던 민족의 분노는
3·1운동을 통해 분출되었고, 이는 독립운동을 조직화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으로 이어지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습니다.


📘 다음은 한능검 기출 사료 155: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독립운동의 구심점 편으로 이어집니다.

반응형

관련 글